Page 50 고 윤리와 사상
P. 50
1
성악설과 예 맹자가 인간의 본성에 내재한 도덕 감정에 주목하여 성선설을 주장
사람의 본성은 악하다.
하였다면, 순자는 욕망을 추구하는 인간의 현실적 모습에 주목하여 성악설을 주장하
그렇기 때문에 교육과 제도적
규범으로 악한 본성을 였다. 순자는 인간의 본성은 악하며, 인간이 선한 행위를 하는 것은 인위적인 노력 때
바로잡아야 한다.
문이라고 하였다. 그의 주장은 인간의 본성이 악하다는 점을 강조하기 위한 것이라기
보다는, 도덕의 성립 근거를 인간의 도덕적 마음이 아니라 사회의 제도적 규범에서 05
찾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순자는 사람들이 타고난 본성을 그대로 따른다면 사회가 반드시 무질서 상태가 될
것으로 보았다. 그는 인간이 무질서 상태를 피하고 사회적 존재로서 살아가기 위해
✽
서는 사회의 제도적 규범인 예(禮)가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따라서 사회 질서를
확립하기 위해서는 스승의 가르침이나 학문을 통해 예라는 제도적 규범을 배워야 하 10
▲ 순자(荀子, B.C. 298?~B.C. 238?) 고, 타고난 본성을 선하게 교화하려는 노력, 즉 화성기위(化性起僞)가 필요하다는 것
이다.
✽예(禮)
맹자가 측은지심과 같은 도덕적 마음에서 출발하여 도덕 사회를 이루려 하였다면,
순자가 말하는 예는 인간의 본
성을 교화하고 규제하는 제도적 순자는 예라는 제도적 규범을 통해 개인의 도덕성을 확보하려 하였다. 이와 같이 맹
규범을 말한다.
자와 순자는 인간의 본성에 관하여 견해를 달리하였지만, 모두 교육과 수양의 중요 15
성을 강조하였다. 맹자는 사람들이 본래부터 가지고 있는 선한 마음(사단)이 미약하
기 때문에 이를 확충하기 위한 노력을 강조하였고, 순자는 교육과 제도적 규범으로
인간의 악한 본성을 교화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비교하기, 성찰하기
모 ‘도덕적 마음’인가, ‘제도적 규범’인가?
모둠 토론둠 토론
사람은 누구나 남에게 차마 하지 못하 인간의 본성은 악하며, 선(善)이라는
는 마음이 있다. …… 남을 불쌍히 여기 것은 인간의 노력〔人爲〕에 의한 것이다.
는 마음은 인(仁)의 단서이고, 부끄러움 오늘날 사람의 본성은 나면서부터 이익
을 아는 마음은 의(義)의 단서이며, 사 을 좋아한다. 그래서 다툼과 빼앗음이
양하는 마음은 예(禮)의 단서이고, 옳고 생겨나고 사양하지 않는다. …… 그러므
그름을 아는 마음은 지(智)의 단서이다. 로 스승의 가르침과 법도, 예(禮)와 의
사람에게 이 네 가지 단서가 있음은 마 (義)로 교화해야 사양할 줄 알고 조리에
치 사람에게 팔다리가 있는 것과 같다. 맞게 행동하여 세상이 평화롭게 된다.
- 『맹자』, 공손추 편 - 『순자』, 성악 편
토론 방법 맹자와 순자의 관점 중에서 자신이 지지하는 관점을 정하고, 그것을 뒷받침하는 근거를 들어가며 토론한다.
토론 결과를 종합하여 도덕의 성립 근거를 무엇에 두어야 하는지 발표하고, 그 이유를 설명해 보자.
48 Ⅱ. 동양과 한국 윤리 사상
윤리와사상제출본.indb 48 2018-08-06 오전 11:35: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