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6 고 윤리와 사상
P. 46








인의 윤리
2 사랑〔仁〕에 바탕을 둔 질서 있는 세상은



어떻게 해야 실현될 수 있을까?





주 제 열 기 공자는 사람에 대한 사랑인 인(仁)을 강조하면서 인간의 선한 마음을 통해 도덕 사회를 실현하고자 하였
다. 공자의 사상을 계승한 유교의 여러 학설에는 어떤 관점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자.







공자가 말하는 인(仁)은 오늘날 우리의 삶에 어떤 의미가 있을까?



자기를 이겨내고 예(禮)로
돌아가는 것을 인(仁)이라고
인을 실천하려면
한다. 하루라도 자기를 극복하고
어떻게 해야 하나요?
선생님, 인(仁)이란 예로 돌아갈 수 있다면 천하가
무엇입니까? 모두 인에 귀의할 것이다.
























공자





학습 계획을 세워 보자.

1 이해하기 2 비교하기 3 성찰하기
유교의 성립과 발전 과정 도덕의 성립 근거 인간의 본성
공자, 맹자, 순자의 사상 도덕 법칙의 탐구 방법 성리학의 도덕 법칙과 한계
성리학과 양명학의 특징 성리학과 양명학의 주장 양명학의 도덕 법칙과 한계


다음 과제를 수행해 보자.

모둠 토론 ‘도덕적 마음’인가, ‘제도적 규범’인가? 교과서 48쪽


44 Ⅱ. 동양과 한국 윤리 사상







윤리와사상제출본.indb 44 2018-08-06 오전 11:35:42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