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2 고 윤리와 사상
P. 42










동양 윤리에서 강조하는 이상적 인간상과 삶의 목표는 무엇인가?

인간은 이상적인 삶을 누리기 위해 이상적 인간상을 설정하여 이를 삶의 목표로
삼는다. 유교에서는 학문과 도덕을 겸비한 군자(君子)를 이상적 인간상으로 제시하
였다. 공자는 현세의 삶을 중시하면서 행복의 조건으로 배움의 즐거움과 인(仁)의

실천을 강조하였다. 여기에서 인(仁)은 타인과 공동체에 대한 사랑으로 인격 수양을 05
통해 자연스럽게 드러나는 덕목이다. 유교 사상가들은 삶의 목표로 학문 탐구, 공동
체적 연대, 도덕성 함양 등을 내세웠다.

도가에서는 인위적 관점에서 벗어나 자연에 순응하는 지인(至人)을 이상적 인간
상으로 제시하였다. 장자는 “오리의 다리가 짧다고 하여 그것을 늘이면 오리가 근심

할 것이요, 학의 다리가 길다고 하여 그것을 자르면 학이 슬퍼할 것이다.”라고 하면 10
서 자신의 본성에 따라 사는 삶을 강조하였다. 즉, 인간의 행복은 사회적 통념에 따
라 사는 것이 아니라 각자 자신의 본성을 실현하는 것이라고 본 것이다.

불교에서는 세상의 모든 것이 고통이며, 고통의 원인은 사람들의 어리석은 탐욕
과 집착에 있음을 깨닫는 것이라고 하였다. 또한, 현세에서 하는 선악의 행위에

의해 다음 생이 정해진다고 보고, 이러한 윤회의 고리에서 벗어나는 깨달음을 15
통해 최고 행복의 경지에 이르는 것을 삶의 목표로 제시하였다. 특히, 대승 불
교에서는 위로는 깨달음을 추구하고 아래로는 중생을 구제하여 자비를 실천

하는 보살(菩薩)을 이상적 인간상으로 제시하였다.
20





비교하기, 성찰하기

모둠 토론둠 토론 우리의 바람직한 삶의 목표는 무엇이어야 하는가?

유교의 관점 도가의 관점 불교의 관점
배우고 때때로 익히면 말에 멍에를 달고 소 탐욕과 성냄과 어리석
또한 기쁘지 아니한 에게 코뚜레를 다는 음을 버리고 무소의
가? …… 남이 알아 것은 인위(人爲)이고, 뿔처럼 혼자서 가라.
주지 않아도 화내지 않 원래 그대로 두는 것이 - 석가모니
으면 또한 군자가 아니겠는가? - 공자 말과 소의 자연스러움이다. - 장자



•이상적 인간상: 군자(君子) •이상적 인간상: 지인(至人) •이상적 인간상: 보살
• 삶의 목표: 학문을 통해 도덕성을 • 삶의 목표: 자연에 순응하며 만물의 • 삶의 목표: 스스로 깨달음을 얻어 중
함양하고 인(仁)을 실천하는 삶 본성에 따르는 삶 생을 구제하고 자비를 실천하는 삶


토론 방법 유교, 도가, 불교 중 하나의 관점을 선택하고, 자신의 주장을 옹호하는 논거를 들어가며 토론한다.

모둠별로 토론 결과를 종합하여 우리의 바람직한 삶의 목표는 무엇이어야 하는지 발표해 보자.


40 Ⅱ. 동양과 한국 윤리 사상







윤리와사상제출본.indb 40 2018-08-06 오전 11:35:40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