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4 고 윤리와 사상
P. 44
한국 윤리 사상은 어떻게 성립되어 발전하여 왔는가?
한국의 윤리 사상은 우리의 고유한 정서를 바탕으로 하여 주변의 여러 외래 사상을
주체적으로 수용하면서 발전해 왔으며, 우리 민족의 삶을 윤택하게 하고 사회를 통합
✽화랑도
하는 데 기여하였다.
신라 시대 민간의 청소년 단체로
서 풍류도, 풍월도, 국선도, 원화 단군 신화에 담긴 정신은 이후 우리나라에 유교, 불교, 도가 사상이 전래되어 토착 05
도 등으로 불렸다.
화하는 과정에서 한국 고유의 사상으로 발전하였다. 그뿐만 아니라 19세기 말 이후 서
✽동학 양 문물을 수용할 때에도 외래 사상을 주체적으로 이해하는 지혜의 원천으로 작용하
1860년 최제우가 창시한 민족 ✽
였다. 삼국 시대 우리 고유 사상의 바탕 위에 유·불·도 삼교를 융합한 화랑도 정신
종교이다. 이후 제3대 교조 손병
✽
희에 의해 천도교로 이름이 바뀌 과 19세기 말 우리의 민간 신앙과 유·불·도 삼교를 융합하여 성립한 동학은 이러한
었다. 조화와 화합의 정신을 계승하고 있다. 10
나라에 현묘한 도가 있으니 이를 풍류라고 한다. …… 이 풍류 사상은 유교, 불교, 도교를
포함하고 있으며 많은 사람을 교화하였다. 가정에서 부모에게 효도하고 밖에 나가서는 나라
에 충성하는 것은 공자의 뜻이요, 무위(無爲)로 처신하고 무언(無言)의 가르침을 행하는 것
은 노자의 주장이요, 악한 행동을 하지 말고 선행을 하는 것은 부처의 교화이다.
- 『삼국사기』, 최치원 난랑비 서문 15
신라의 승려 원광이 제정한 화랑도의 세속오계는 임금에게 충성하고, 부
모에게 효도하고, 신의로써 친구를 사귀고, 전쟁에 나가서는 물러나지 않
고, 함부로 살생을 하지 않는다는 충성·효도·신의·용기·자비 등 다섯
가지 규정으로 되어 있다.
우리의 민족 종교인 동학은 천인합일 정신을 바탕으로 하여 사람이 곧 20
하늘이라는 인내천(人乃天) 사상으로 체계화되었다. 동학은 인간의 지위를
하늘과 동등하다고 규정하면서 인간 존중의 정신을 표현하였으며, 사람은
▲ 기마 인물상(경주 금령총 출토) 신라 시대
화랑의 모습을 엿볼 수 있다. 모두 동등하다는 평등사상을 제시하였다.
탐구 성찰하기
활동
한국 윤리 사상을 어떻게 규정할 수 있을까?
혹자는 말하기를 한국 사상이라야 불교 사상 아니면 유교 사상일 것이요, 불교나 유교가 모두 남의 것이 아니냐
고 할는지 모른다. …… 그러나 그런 논법으로 일관한다면 서양의 여러 문명국에는 하나의 문화밖에 없고, 아마도
이렇다 할 각자의 독자성은 없어야 할 것이다. …… 기독교는 분명히 동양에서 시작된 종교이겠기 때문이다. ……
서양 문화의 특색이 없다면, 서양 사람들 자신이 누구보다도 먼저 반대할 것이 아닌가. 그렇다면 한국에서만 불교
나 유교가 외방으로부터 전래되었다고 하여 사상적인 독자성이 없으란 법이 어디 있을 것인가?
- 박종홍, 「한국 사상 연구에 관한 서론적인 구상」
활동 1 유교, 불교, 도가 사상의 요소와 한국 고유의 사상이 융합한 사례를 찾아보자.
활동 2 유교, 불교, 도가 사상과 같은 외래 사상도 한국 윤리 사상이라고 할 수 있는 이유를 말해 보자.
42 Ⅱ. 동양과 한국 윤리 사상
윤리와사상제출본.indb 42 2018-08-06 오전 11:35: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