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3 고 윤리와 사상
P. 43
1-2 한국 윤리 사상의 연원 학습 요소
•한국의 민간 신앙
•단군 신화에 담긴 정신
학 습 •한국 전통 윤리 사상의 연원을 이해하고, 그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한국의 전통 윤리 사상
목 표 •한국 전통 윤리 사상의 성립과 발전 과정을 이해할 수 있다. •화랑도 정신과 동학사상
한국 전통 사상은 어떤 특징이 있는가?
한국의 전통 사상은 우리 민족의 사상적 기원을 밝혀줄 수 있을 뿐만 아
니라 외래 문물을 주체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문화적 자산이라 할 수 있다.
한국 윤리 사상의 근원은 점술이나 굿을 통해 초월적인 신과 인간을 연결
05 하는 샤머니즘, 그리고 특정 자연물을 숭배하는 토테미즘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러한 민간 신앙은 한국인의 윤리적 사유의 바탕에 깔려 있는 집단
의식을 보여 준다. 특히 단군 신화에는 하늘에서 내려온 천신이 인간과 함 ▲ 마니산 참성단에서 열리는 성화 채화 행사(인
께 공존하며, 하늘과 인간이 조화하는 천인합일(天人合一)의 정신이 드러나 천 강화) 『고려사』에는 이곳에서 단군이 하늘
에 제사를 지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있다.
10 단군 신화에는 하늘과 인간이 주종 관계로 분리되어 있지 않고, 하늘이 전능한 힘
으로 인간을 지배하고 있지도 않다. 천제(天帝)인 환인이 인간을 창조한 것이 아니
라, 그의 아들인 환웅이 땅의 웅녀와 결합하여 단군을 낳았다. 이는 우리 민족의 기
원을 하늘과 인간이 함께 협력한 산물로 설정하여 우리 민족의 자주적인 주체 의식
을 보여 주고 있다.
15 단군 신화의 이념은 널리 인간 세계를 이롭게 한다는 홍익인간(弘益人間)의 정신
이다. 단군 신화에서 환인의 아들 환웅이 인간 세상에 가서 살기를 원하였다는 것은
세상의 삶을 긍정하는 현세 지향적 가치관을 보여 준다. 따라서 홍익인간의 이념은
인간의 행복과 존엄성을 중시하는 인본주의(人本主義)이며, 인류의 공동 번영의 이
상을 구현하는 평화주의이다.
이해하기
자료
읽기 단군 신화에 담긴 정신
환인의 아들 환웅이 하늘 아래에 자주 뜻을 두고 인간 세상을 다스리고자 하였다. 환인
이 아들의 뜻을 알고 인간 세상을 내려다보니 널리 이롭게 할 만하였다. …… 환웅은 무
리 삼천 명을 거느리고 태백산 신단수 아래에 내려왔다. 환웅은 풍백, 우사, 운사를 거느
리고 곡식, 수명, 질병, 형벌, 선악 등을 주관하였다. 이때 곰 한 마리와 호랑이 한 마리가
같은 굴에 살았는데, 늘 사람이 되기를 환웅에게 빌었다. 곰은 삼칠일 동안 몸을 삼가 여
자의 몸이 되었으나, 호랑이는 그렇지 못하여 사람의 몸을 얻지 못하였다. 환웅이 임시로
변하여 웅녀와 결혼하고, 그 아들을 얻으니 이름을 단군왕검이라 하였다. - 『삼국유사』
도움 글 단군 신화에서 지상에 내려온 환웅은 곡식과 생명, 형벌과 선악 등으로 인간 세상을 다스리고 교화하는 역할을 맡았다. 여기에는 생명 존
중의 정신뿐만 아니라 인간의 행복한 삶을 실현하는 중요한 요소인 사회 정의와 도덕의식 등이 담겨 있다.
1. 인간의 행복과 질서를 실현하는 원리와 방법은 무엇인가? 41
윤리와사상제출본.indb 41 2018-08-06 오전 11:35: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