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9 고 윤리와 사상
P. 39
1-1 동양 윤리 사상의 연원 학습 요소
•동양 윤리의 연원
•동양의 자연관과 세계관
학 습 •동양 윤리 사상의 연원과 특징을 이해할 수 있다. •동양의 인간관과 사회관
목 표 •동양 윤리의 인간관, 사회관을 비교하여 바람직한 삶의 목표를 성찰할 수 있다. •동양의 이상적 인간상
동양 윤리 사상의 연원은 무엇인가?
철학과 사상의 시대 일찍이 고대 문명이 발달하였던 인도와 중국, 그리고 그리 ✽축의 시대
스에서는 기원전 8세기 무렵부터 기원전 3세기까지에 걸쳐 자연 세계와 인간 사회 기원전 8세기부터 기원전 3세기
사이 인류 문명의 기틀을 만든
를 탐구하는 다양한 철학과 사상이 출현하였다. 인도에서는 석가모니, 중국에서는 주요 사상이 등장한 시기를 가
05 공자와 노자, 그리스에서는 소크라테스 등 여러 사상가가 등장하였다. 이 시기에 리킨다. 독일의 실존주의 사상가
야스퍼스가 제시한 용어이다.
인류의 철학적 사유의 토대가 형성되어 이후 역사에서 사유의 중심축을 이루었다고
✽
하여 이 시대를 축의 시대라고도 부른다.
동양 윤리의 연원 동양의 윤리 사상은 유교, 불교, 도가 사상을 중심으로 전개되
었다. 유교와 도가 사상은 중국에서 기원하여 우리나라와 일본 등에 전해졌고, 불교
10 는 인도 북부에서 발생하여 이후 아시아 각국으로 확산되었다.
중국을 비롯한 아시아 지역은 일찍부터 농업이 발달하였다. 농경 사회는 정착 생
활과 공동 노동을 필요로 한다. 이 때문에 동양에서는 혈연관계를 중시하는 가족
제도와 지역 사회의 협력을 중시하는 공동체 사상이 발달하였다.
유교 사상은 개인의 도덕적 수양과 가족 간의 화합에서 출발하여 사회와 국가의
15 질서 유지, 나아가 세계의 평화를 추구하였으며, 국가는 가족에서 확대된 공동체로
이해되었다. 또한, 도가 사상은 자연의 변화에 순응하는 소박한 삶을 추구하면서 자
연의 질서 속에서 개인의 행복과 윤리의 근거를 찾으려 하였다.
한편, 인도에서는 개인의 삶과 우주의 본질에 대한 깊은 성찰과 수행을 중심으로
하는 종교 윤리가 발달하였다. 인도인의 사유의 바탕에는 어떻게 하면 인간이 고통
20 스럽고 유한하고 속박된 삶을 초월하여 절대적이고 영원한 자유를 얻을 수 있는가
하는 것이 깔려 있다.
◀ 불탑 앞에 앉아 수행하는 승려들
1. 인간의 행복과 질서를 실현하는 원리와 방법은 무엇인가? 37
윤리와사상제출본.indb 37 2018-08-06 오전 11:35: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