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6 고 윤리와 사상
P. 36










흐름으로 보는 동양 윤리 사상







중국 유교의 발전
시대 배경 주요 특징
춘추 전국 시대의 사회 혼란 선진 유교: 공자, 맹자, 순자의 사
자기를 극복하고 예(禮)로 돌아가는 것이 인 선진 시대
⇒ 제자백가 등장 상 ⇒ 유교 성립의 토대 마련
(仁)이다. 하루라도 자기를 극복하고 예로
진나라 진시황의 통일 훈고학: 경학 중심 ⇒ 사라진
돌아간다면 천하가 인에 귀의할 것이다. 한ㆍ당대 ⇒ 분서갱유 단행(사상 탄압) 유교 경전에 대한 연구
이기론 중심 ⇒ 인간 본성과 자 성리학: 주희가 집대성 ⇒ 사물
공자 송대 연 질서, 도덕 법칙 설명 의 이치 규명 중시
•유가 사상 창시
•인(仁)의 사랑 강조 명대 개인의 마음 연구와 수양 방법 양명학: 왕수인이 집대성 ⇒ 주
•효제, 충서 을 중시하는 심학 등장 체의 도덕성 회복 강조
•덕치 강조 성리학과 양명학 비판 ⇒ 학문 고증학: 경세치용, 이용후생, 실사
•대동 사회 추구 청대 연구의 객관적 실증적 태도 강조 구시 ⇒ 조선 실학에 영향


사람은 누구나 네 가지 선한 마음의 단서가 사람의 본성은 악하다. 그러므로 예(禮)라는
있다. 이것이 인의예지(仁義禮智)를 실현할 사회 규범을 배워 자신의 욕망을 다스림으
수 있는 실마리이다. 로써 선한 존재가 될 수 있다.

맹자
•공자의 사상 계승
•성선설 주장 순자
•사단, 인의예지 •공자의 사상 계승
•왕도 정치 •성악설 주장
•성인, 군자, 대인, 대장부 •예치 강조


성(性)이란 하늘이 명령한 것으로, 본성이 마음이 곧 하늘의 이치이다. 앎은 행함의 시
곧 하늘의 이치이다. 따라서 성인은 하늘을 작이요, 행함은 앎의 완성이다. 따라서 앎과
추구한다. 행함은 근본적으로 같다.


주희 왕수인
•성리학 집대성 •양명학 집대성
•성즉리(性卽理) •심즉리(心卽理)
•격물치지(格物致知) •치양지(致良知)
•존양성찰(存養省察) •지행합일(知行合一)




한국 유교의 발전

경(敬)은 마음을 다스리는 방법이다. 경으 성(誠)은 하늘의 참된 이치이며, 마음의 인간은 선을 좋아하는 성품을 지니고 있
로 마음을 다스리면 하늘의 이치를 보존 본체이다, 사람이 본심을 회복하지 못하 으며, 선과 악을 선택하여 행할 수 있는
하고 인간의 욕망을 조절할 수 있다. 는 것은 사심이 가리고 있기 때문이다. 자주지권을 하늘로부터 부여받았다.


이황 이이 정약용
•조선 성리학 확립 •이통기국론 주장 •실학 집대성
•순수한 도덕 본성 중시 • 기발이승일도설 주장 •사회 개혁론 제시
•이기호발설 주장 •성(誠)과 경(敬) 중시 •성기호설 주장
•경(敬) 중시 •일반 감정의 조절 강조 •자주지권 주장



34 Ⅱ. 동양과 한국 윤리 사상







윤리와사상제출본.indb 34 2018-08-06 오전 11:35:31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