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7 고 윤리와 사상
P. 37










단원 학습 모둠 협동 학습
이 단원에서는 유교, 불교, 도가 사상 중 하나를 선택하여 모둠 협동 학습을 수행한다.
먼저 주제와 관련하여 단원 주제별로 동양과 한국 윤리 사상을 이해할 수 있는 동영상을 시청한다.
단원 주제와 관련된 개념 카드 또는 학습 자료 등을 준비하고 모둠원이 협력하여 함께 공유한다.
모둠 토론 과정을 거친 후 토론 결과를 정리하고 모둠 학습의 결과물을 리포트 형식으로 제출한다.

탐구할 사상 모둠원의 역할 학습 준비물 과제 제출 형식
모둠 협동
학습




불교의 성립과 한국 불교의 발전


불교의 성립 한국 불교의 발전
• 석가모니의 깨달음(부처)  깨달음 설파 • 삼국 시대 전래  왕실 중심 수용
• 연기적 세계관: 이 세상 모든 존재는 상호 의존적 • 삼국 불교: 고대 국가 성립에 기여
관계 • 통일 신라: 원효의 화쟁 사상, 정토 신앙  한국
• 사성제, 팔정도  열반, 해탈 불교 이론 정립, 불교의 대중화

석가모니
부파 불교 대승 불교 의천 지눌
깨달음(지혜) 중시, 개인 중생 구제, 자비 실천 내외겸전, 교관겸수 정혜쌍수, 돈오점수
해탈 추구  아라한 강조  보살 ⇒ 선교 통합 주장 ⇒ 선교 일치 주장




일심이란 무엇인가? 더러움과 깨끗함은 경전을 익혔으되 직관 수행하는 것을 익 선은 부처의 마음이요, 교는 부처의 말씀
그 본래 성품이 둘이 아니고, 참과 거짓도 히지 않은 자라면 비록 경전에 능통한 사 이다. 따라서 정(定)과 혜(慧)는 분리될 수
다르지 않다. 그러므로 하나라고 한다. 람이라 할지라도 나는 믿지 않는다. 없으며 함께 닦아야 한다.



원효 의천 지눌
•통일 신라의 승려 •고려 전기의 승려 •고려 후기의 승려
•일심 사상 •내외겸전 •정혜쌍수
•화쟁 사상 •교관겸수 •돈오점수
•정토 신앙 • 교종 중심의 선교 • 선종 중심의 선교
•한국 불교 대중화 통합 주장 일치 주장





도가 사상과 도교의 성립
도가 사상의 성립
최상의 선은 물과 같다. 물은 만물을 이롭 지인은 자기의 몸에 얽매이지 않고, 신인 노자의 사상 + 장자의 사상
게 하면서도 공을 다투지 않고, 모든 사람 은 공적에 얽매이지 않으며, 성인은 명예
이 싫어하는 곳에 머문다. 에 얽매이지 않는다. 도교의 성립
민간 신앙 + 신선 사상 + 도가 사상
남북조 시대: 교리와 교단 체계 갖춤.
노자 장자
•도가 사상 창시 •노자 사상 계승 도교와 한국 민간 사상
•도: 만물의 근원 •심재, 좌망 • 도교의 전래: 삼국 시대
•무위의 정치 강조 •제물: 만물의 평등 • 도교와 한국 민간 신앙의 융합, 옥황상제,
•상선약수, 소국과민 •소요: 절대적 자유 성황신, 칠성신, 조왕신 등
•무위자연의 삶 •지인, 진인, 신인, 천인


흐름으로 보는 동양 윤리 사상 35






윤리와사상제출본.indb 35 2018-08-06 오전 11:35:32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