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2 고 윤리와 사상
P. 32
윤리 사상과 사회사상의 현대적 의의는 무엇인가?
전통 사회처럼 규모가 작은 사회에서는 개인의 도덕성과 사회의 도덕성은 크게
다르지 않았다. 하지만 현대에 들어 국가의 규모가 커지고 사회가 복잡해짐에 따라
개인의 도덕성 차원을 넘어서는 새로운 윤리 문제가 발생하였다. 즉, 개인의 선택에
사회의 구조나 제도의 영향이 크게 확대되면서, 개인의 도덕성만으로 해결하지 못하 05
는 문제의 영역이 존재하게 된 것이다.
미국의 사회 윤리학자 니부어는, 개인은 행위를 결정할 때 자신의 이해뿐만 아니
라 때로는 다른 사람의 이해도 고려하여 그들의 이익을 존중한다는 점에서 윤리적
이지만, 사회 집단은 비록 그 구성원이 윤리적일지라도 사회 집단의 구성원으로서
는 매우 이기적이 된다고 분석하였다. 따라서 개인의 도덕성과 사회 집단의 도덕성 10
을 구분해서 이해해야 한다고 보았다.
특권 계급은 한 집단 안에서 개인들 간의 정의로운 관계 수립은, 결코 쉬운 일은 아니지만, 순수하게
자신의 특권을 평등과 도덕적이고 합리적인 설득과 조정이 이루어질 경우 가능하다. 하지만 사회 집단 간의 정의로
정의로 포장한다.
운 관계 수립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 니부어, 『도덕적 인간과 비도덕적 사회』
이와 같은 분석을 통해 우리는 한 개인이 비록 도덕성을 갖추고 있다고 할지라도 15
정의롭지 못한 집단 속에서는 이러한 도덕성이 제대로 구현되지 못할 수 있음
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우리는 윤리 사상과 사회사상에서 제시하는 도덕적 이상
을 구현하고, 우리 사회를 보다 정의로운 사회로 만들려면 이를 실현할
수 있는 구체적인 법과 제도를 마련하여 불공정과 부조리가 발붙일
수 없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 니부어(Niebuhr, R., 1892~1971)
성찰하기
모둠 토론둠 토론 내부 고발은 ‘정의’인가, ‘배신’인가?
모
최근 한국 사회에서 내부자 고발이 이슈가 되고 있다. 최근에는 이를 활용한 소재로 영화와 웹툰이 만들어지
고 있기도 하며,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다양한 영역 내에서 내부 고발을 통해 불공정한 관행들이 속속히 드
러나고 있다. 한 사회가 정의로운 사회가 되기 위해서는 부정부패와 같은 사회의 불공정함이 없어져야 하는데,
사회의 불공정함은 내부 고발을 통해 폭로되기도 한다. 하지만 이러한 내부 고발이 조직 문화의 화합을 깨뜨리
고, 조직에 해가 되는 배신행위라는 이유로 이를 폭로하기를 꺼려하거나 내부 고발자에게 보복을 가하는 일이
벌어지기도 한다.
토론 방법
•우리 사회의 내부 고발 사례를 조사해 보고 위 주제를 가지고 토론해 보자.
•위와 같은 사례는 개인 도덕성의 문제인지 사회 집단 구조의 문제인지 생각해 보자.
•토론 후 우리 사회를 보다 정의로운 사회로 만들기 위해서 어떤 노력이 필요한지 발표해 보자.
30 Ⅰ . 인간과 윤리 사상
윤리와사상제출본.indb 30 2018-08-06 오전 11:35: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