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7 고 윤리와 사상
P. 27










2-1 윤리 사상과 우리의 삶 학습 요소
•윤리 사상의 역할
•윤리 사상의 사례 탐구
학 습 • 한국 및 동서양의 윤리 사상과 사회사상이 하는 역할을 이해할 수 있다. •우리의 삶과 윤리 사상의 관계
목 표 • 윤리 사상이 하는 역할에 대한 실제적인 사례를 탐구할 수 있다.




윤리 사상이 우리의 삶에 기여한 점은 무엇인가?


한국의 윤리 사상 한국의 윤리 사상은 인간 행복과 존엄성을 중시하는 인본주의
(人本主義)에 그 뿌리를 두고 있으며, 인류 공동 번영의 이상을 구현하는 평화주의
가치관을 담고 있다. 이러한 가치관은 널리 인간을 이롭게 한다는 홍익인간(弘益人

05 間)의 정신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나는 우리나라가 남의 것을 모방하는 나라가 되지 말고, 이러한 높고 새로운 문화의 근원
이 되고 목표가 되고 모범이 되기를 원한다. 그래서 진정한 세계의 평화가 우리나라에서, 우
리나라로 말미암아서 세계에 실현되기를 원한다. 홍익인간이라는 우리 국조 단군의 이상이 ▲ 김구(1876~1949) 독립 운동가
이자 대한민국의 정치인, 교육
이것이라고 믿는다. - 김구, 『백범일지』
가, 통일 운동가이다.

10 이와 같이 한국의 윤리 사상은 인간 존중, 상생과 조화, 그리고 평화의 실현을 우
리가 지향해야 할 삶의 목표로 부여하였으며, 우리의 삶에서 평화의 가치를 높이는

데 많은 기여를 하였다.
한편, 우리나라는 예로부터 다양한 외래문화와 사상을 주체적으로 수용하였으며,
전통 사상과 외래 사상을 융합하여 한 차원 더 높은 사유 체계로 발전시켜 왔다. 또

15 한, 우리 민족은 오랜 역사를 통해 당면해 왔던 많은 문제를 슬기롭게 해결하면서
다양한 가치를 우리의 삶 속에서 실현해 왔다.



동양의 윤리 사상 농경 문화를 바탕으로 하는 유교의 윤리 사상은 개인보다 가
족이나 사회 공동체의 삶을 더욱 중시하였다. 유교의 사상가들은 가족의 구성원으

로서 개인의 도덕 수양을 통해 먼저 자신의 인격을 완성하고, 나아가 가족과 국가
20 그리고 천하를 평안하게 한다는 수신(修身)·제가(齊家)·치국(治國)·평천하(平天
下)를 목표로 삼았다.

또한, 이들은 인간의 삶의 가치를 다른 사람과의 관계 속에서 찾을 수 있다고 보
았다.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관계 맺음 속에서 인·의·예·지·신(仁義禮智信)으로
표현되는 사람의 도리를 중시하고, 이러한 가치를 현실의 삶 속에서 실천하는 군자

25 (君子)를 이상적인 인간상으로 제시하였다.
이와 같이 유교의 윤리 사상은 인격 완성을 중시하고, 가족 관계를 중심으로 다

양한 인간관계에서 지향해야 할 도덕규범을 제시함으로써 개인 간의 도덕적 관계를
유지하게 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사회를 안정시키는 데 기여하였다.


2. 우리의 삶에서 윤리사상과 사회사상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 25







윤리와사상제출본.indb 25 2018-08-06 오전 11:35:20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