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8 고 윤리와 사상
P. 28
불교의 가르침은 모든 사물은 서로 의존하는 관계에 있으며, 누구나 부처의 마음
〔佛性〕을 가지고 있는 소중한 존재이고, 모든 사물은 서로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자
기 자신이 소중하듯이 모든 존재가 소중하다는 것을 깨달아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
한 불교의 사상은 자신과 타인을 공존 관계로 이해하는 지혜를 제공함으로써 살아
있는 모든 생명을 소중하게 여기는 사고를 형성하는 데 기여하였다. 05
한편, 도가에서는 자연 그대로 소박하게 살아가는 삶을 이상적으로 보았다. 노자
✽예악(禮樂) 와 장자를 비롯한 도가 사상가들은 인의(仁義)나 예악(禮樂)과 같은 인위적인 가
✽
다른 사람을 배려하는 예절, 바
치는 인간의 자연스러운 본성과 맞지 않는다고 보았다. 따라서 부와 권력, 명예 등
른 행동과 즐거움을 함께 나눌
수 있는 음악을 강조하는 유가 을 추구하는 삶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보고, 인간 본래의 자기 모습대로 살아가는
의 사상을 뜻한다.
삶을 추구하였다. 이러한 도가의 윤리 사상은 자연적 존재로서 인간이 과도한 욕망 10
을 절제해야 함을 일깨워 주고 있다.
서양의 윤리 사상 서양의 윤리 사상은 고대 그리스의 사상과 그리스도교의 윤리
사상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
고대 그리스의 자연 철학자들은 자연 현상의 근원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들의 탐구 15
와 경험적 다양성은 이후 서양 윤리 사상을 보다 풍부하게 하는 원천이 되었다. 뒤이어
등장한 소피스트들은 자연 현상보다 인간의 삶에 주목하였고, 윤리의 상대성을 강조한
소피스트에 맞서 윤리의 보편성을 옹호한 소크라테스를 통해 서양 윤리 사상이 꽃을
피웠다. “너 자신을 알라.”라는 말에서 보듯이 참된 앎을 강조하는 그의 보편 윤리는 이
후 이성 중심의 서양 윤리 사상으로 발전하였다.
한편, 그리스도교의 윤리 사상은 모든 인간에 대한 조건 없는 사랑을 최고 가치로 삼 20
았다. 즉, 모든 인간은 신의 자녀로서 평등하다는 정신과 서로 사랑하라는 박애주의 정
신을 담고 있다. 예수는 이웃에 대한 참된 사랑의 적극적 실천과 더불어 선과 정의가
실현되는 사회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가르침은 많은 사람의 삶에 영향을 주었으며, 오
늘날까지 서양인의 윤리적 사유의 바탕이 되고 있다.
성찰하기
자료
읽기 착한 사마리아인의 이웃 사랑
예수께서 말씀하셨다. 어떤 사람이 예루살렘에서 여리고로 가다가 강도를 만
났다. 강도들이 그의 옷을 벗기고 때려 거의 죽어가는 것을 버리고 갔다. 마침
한 제사장이 그 길을 가다가 그를 피해 지나갔다. 레위인도 그를 피해 지나갔
다. 그런데 어떤 사마리아인이 그를 보고 불쌍히 여겨 가까이 가서 기름과 포
도주를 상처에 붓고 싸매어 주고는 자기 나귀에 태워 여관으로 데리고 가서 돌
보아 주었다. 또 이튿날 여관 주인에게 이 사람을 돌보아 달라고 부탁하며 비용
이 더 들면 돌아올 때에 갚겠다고 하였다. 그러면 이 세 사람 중에 누가 우리의 이웃
인가? 물으시고, 가서 너희도 이와 같이 하라고 하시었다. - 『성경』, 「누가복음」
26 Ⅰ . 인간과 윤리 사상
윤리와사상제출본.indb 26 2018-08-06 오전 11:35: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