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9 고 윤리와 사상
P. 29
윤리 사상은 우리의 삶과 어떤 관련이 있는가?
윤리는 인간이 마땅히 해야 하는 삶의 도리로서 인간다움의 핵심이다. 그동안 한국
및 동서양의 윤리 사상은 ‘인간이 마땅히 해야 하는 것이 무엇이고, 추구해야 할 가치
는 무엇인가?’와 같은 질문에 대해 다양한 견해를 제시하였다.
동양과 한국의 윤리 사상은 대체로 인간과 자연을 유기체적 관계로 이해하고, 인간
05 과 자연의 합일을 추구하였다.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중시하며, 생명 존중과 공존, 조
화와 화합의 정신을 강조하는 동양과 한국의 윤리 사상은 오늘날 인류가 당면한 여러
문제들에 대해 성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으며, 물질보다 정신의 가치를 더욱 중
시함으로써 현대 사회의 물질 만능주의를 극복하게 하는 데 도움이 되고 있다.
한편, 근대 이후 서양의 윤리 사상은 인간의 존재 의미와 권리 등을 보다 깊이 탐구
10 함으로써, 인류 보편적 가치인 자유, 평등, 박애의 정신을 일깨워 주었다. 또한, 현대에
들어서는 인권 문제를 비롯하여 세계 평화와 해외 원조뿐만 아니라 인간을 넘어 동물
권 보호 등으로 윤리의 영역을 더욱 확장함으로써 인간 존엄과 생명 존중의 가치를 실
현하고, 이를 실제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제도를 만들어 가는 데 기여하고 있다.
성찰하기
모
모둠 토론둠 토론 우리의 삶에서 보다 중요한 가치는 무엇인가?
❖ 다음 사례를 현대인의 관점에서 비판하고 토론해 보자.
사례 1 초나라 섭공이 공자에게 말하기를 “우리 고을에 정직한 사람이 있는데, 자기 아버지가 양을 훔치자 아들이 그
것을 고발하였습니다.”라고 하자, 공자는 “우리 고을의 정직한 사람은 이와 다릅니다. 아버지는 아들을 위해
숨겨 주고, 아들은 아버지를 위해 숨겨 주는데, 그 가운데 정직함이 있습니다.”라고 하였다. - 『논어』, 자로 편
사례 2 노나라 사람이 군주를 따라 전쟁에 나갔다가 세 번 싸울 때마다 세 번 다 도망하였다. 공자가 그 까닭을 물었
다. 그는 “저에게 늙은 아버지가 계시는데, 제가 죽으면 아무도 돌볼 사람이 없습니다.”라고 대답하였다. 공자
는 그가 효자라고 생각하여 높은 자리에 추천하였다. 공자가 도망한 아들을 칭찬하자 백성들이 쉽게 도망갔다.
- 『한비자』, 오두 편
사례 3 범인 은닉과 친족 간의 특례
① 벌금 이상의 형에 해당하는 죄를 범한 자를 은닉 또는 도피하게 한 자는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 원 이
하의 벌금에 처한다.
② 친족 또는 동거의 가족이 본인을 위하여 전항의 죄를 범한 때에는 처벌하지 아니한다. - 형법 제151조
토론하기
•법을 지키기 위해서라면 부모를 고발할 수도 있는가?
•부모에게 효도하기 위해서라면 법을 어겨도 되는가?
•우리나라 형법에 사례 3과 같은 조항을 둔 이유는 무엇인가?
•‘효’와 ‘법’처럼 사회적으로 중요한 가치가 서로 충돌할 경우 어떤 것을 따라야 하는가?
2. 우리의 삶에서 윤리사상과 사회사상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 27
윤리와사상제출본.indb 27 2018-08-06 오전 11:35: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