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7 고 윤리와 사상
P. 47
2-1 도덕적 마음과 제도적 규범 학습 요소
•유교의 성립과 발전 과정
•공자의 윤리 사상
학 습 •선진 유교의 성립과 발전 과정을 이해할 수 있다. •맹자의 윤리 사상
목 표 •선진 유교의 도덕 성립 근거에 대한 입장과 특징, 한계 등을 비교할 수 있다. •순자의 윤리 사상
유교 사상은 어떻게 성립하여 발전해 왔는가?
유교 사상은 중국의 춘추 전국 시대에 출현한 제자백가 중 유가를 대표하는 공 ✽제자백가(諸子百家)
✽
춘추 전국 시대에 나타난 여러
자의 사상으로부터 비롯하였다. 공자는 인(仁)의 사상을 제시하면서 인간의 선한
학자와 학파를 일컫는다.
마음을 통해 도덕 사회를 실현하고자 하였다. 공자의 사상을 계승한 맹자와 순자는
✽유교 사상의 발전
05 인간 본성에 대한 관점과 사회 질서를 확립하는 방법에 대해 서로 다른 주장을 펼쳤
•선진 유교: 공자, 맹자, 순자
✽
다. 공자를 비롯하여 맹자, 순자의 사상이 유교 사상의 토대를 마련하였다는 점에 •훈고학: 유교 경전 연구
서 이들의 유교 사상을 원시 유교라고 하며, 진나라가 중국을 통일한 이후에 나타난 •성리학: 사물의 이치 규명
•양명학: 주체의 도덕성 회복
유교와 구별하여 선진(先秦) 유교라고도 한다. •고증학: 실증적, 실용적 연구
✽
진시황이 분서갱유를 단행하면서 유교는 한동안 위축되었다. 이 때문에 한대에
✽분서갱유(焚書坑儒)
10 는 사라진 유교 경전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전개되면서 훈고학의 경향이 두드러 진시황이 의학과 농학 등 실용
졌다. 송대에 이르러 유교는 이(理)와 기(氣)를 중심으로 인간 본성과 자연 질서, 도 서적을 제외한 많은 책을 불태
우고 체제를 비판하는 유학자들
덕 법칙과 사회 규범을 총체적으로 설명하려는 철학 체계를 마련하였다. 이러한 철 을 매장한 사상 탄압을 말한다.
학 체계를 바탕으로 하여 남송 시대에는 주희가 성리학을 집대성하였고, 명대에 들
어 왕수인은 심학(心學)의 체계를 확립하여 양명학을 형성하였다. 명말 청초에는 성
15 리학과 양명학이 지닌 사변적 성격을 비판하면서 문헌에 대한 실증적 연구와 민생
의 안정과 실용을 중시하는 고증학이 등장하였다.
유교 사상의 바탕이 되는 공자의 가르침은 무엇인가?
인과 예 인(仁)은 남을 사랑하며 배려하는 도덕적 마음이다. 그렇다면 사람에게
남을 사랑하는 마음이 있다는 것을 어떻게 확인할 수 있을까? 공자는 가족 안에서
20 자연스러운 사랑의 마음을 발견하고자 하였다. 그래서 공자는 부모와 자식 간의 사 자기가 하고 싶지 않은 일을
랑인 효(孝)와 형제간의 우애〔悌〕가 인을 실천하는 기본으로 간주하였다. 남에게 시키지 말라.
오늘날 부모님을 잘 돌보는 것을 효라고 한다. 그렇지만 사람들은 개와 말도 잘 돌본다.
공경하는 마음이 없다면, 어떻게 이 돌봄에 차이가 있겠는가? - 『논어』, 위정 편
공자에 따르면 가족 사이의 사랑에서 확인할 수 있는 도덕적 마음을 다른 가족,
25 사회, 국가로 확대하면, 조화로운 세상이 가능하다. 일상생활에서 인을 실천하는
방법은 충서(忠恕)이다. 충(忠)은 마음의 충실함을 의미하며, 서(恕)는 자신
의 충실한 마음으로 다른 사람을 대하는 것이다. 즉, 충서는 충실한 마음으
로 자기완성에 이르고, 나아가 다른 사람을 배려하는 마음이라 할 수 있다. ▲ 공자(孔子, B.C. 551~B.C. 479)
2. 사랑〔仁〕에 바탕을 둔 질서 있는 세상은 어떻게 해야 실현될 수 있을까? 45
윤리와사상제출본.indb 45 2018-08-06 오전 11:35: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