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1 고 윤리와 사상
P. 51
1
2-2 사물의 이치 규명과 주체의 도덕성 회복 학습 요소
•성리학의 특징
•양명학의 성리학 비판
학 습 •성리학과 양명학의 특징을 이해할 수 있다. •성리학과 양명학의 비교
목 표 •성리학과 양명학의 차이를 비교하여 설명할 수 있다.
성리학의 특징은 무엇인가?
✽
✽
성즉리 주희는 송대 이후 도학에서 제시된 ‘성즉리’의 주장을 이어받아 성리학 ✽도학(道學)
성리학의 별칭이며, 요순 이래의
(性理學)을 집대성하였다.
도통설에 근거하여 도덕의 원리
성리학은 이(理)와 기(氣) 개념으로 세계를 설명한다. 즉, 사물이 현상적으로 나타 와 그 실천을 강조한 송대의 주
돈이, 정호와 정이 형제, 장재 등
05 나는 것은 기(氣)의 흐름으로 파악되며, 어떤 사물이 바로 그 사물로서 존재하게 하
이 주창했다.
는 원리를 이(理)라고 하였다. 주희는 모든 사물이 이와 기로 구성되어 있다고 보았
✽성즉리(性卽理)
기 때문에 이와 기는 서로 분리될 수 없으며〔理氣不相離〕, 동시에 사물의 원리로서
성즉리는 인간을 비롯한 우주
의 이와 재료적 성격을 지니는 기는 동일할 수 없기 때문에 서로 섞일 수 없는〔理氣 만물의 본성〔性〕이 곧 하늘이 부
不相雜〕 것으로 보았다. 원리의 관점에서 보면 모든 사물이 이를 갖추고 있기 때문 여한 이치〔理〕라는 뜻이다.
10 에 동일하다. 그렇지만 현실에 존재하는 사물은 기의 맑고 흐림 또는 온전하고 치
우침〔淸濁粹駁〕의 차이로 인해 구분된다는 것이다.
주희는 이기론(理氣論)을 바탕으로 인간의 마음과 본성의 구조를 밝히고자 하는
심성론(心性論)을 전개하였다. 그는 우리의 몸을 주재하는 것은 마음이므로, 마음
〔心〕의 본체가 성(性)이며 그 작용을 정(情)이라고 규정하였다. 이에 따라 주희는 심
15 이 성과 정을 통괄하는 총체라는 심통성정(心統性情)을 주장하였다.
성리학에서 성(性)은 하늘로부터 부여받은 이치이다. 인간의 본성에는 악이 전혀
없는 완전한 선 그 자체인 본연지성(本然之性)과 기질의 영향을 받는 기질지성(氣
質之性)이 있다. 기질지성은 인간의 욕망과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기질의 작용이
중용의 상태를 벗어나면 악으로 흐를 수 있다. 주희는 이러한 기질을 조절하여 본연
20 지성을 회복하는 것을 수양의 목표로 삼았다.
성(性)이란 하늘이 명령한
거경궁리와 존양성찰 주희는 도덕 수양의 방법으로 존천리거인욕(存天理去人
것으로, 본성이 곧 하늘의
欲)을 제시하였다. 존천리는 하늘로부터 부여받은 천리로서의 본성을 보존하는 것 이치이다. 성인(聖人)은
이고, 거인욕은 도덕의 실현을 방해하지 않도록 기질의 욕망을 제거한다는 뜻이다. 하늘을 추구한다.
주희는 천리로서의 본성을 보존하는 구체적인 방법으로 거경궁리(居敬窮理)와 존
25 양성찰(存養省察)을 들어 설명하였다. 거경은 천리로서의 본성을 지키기 위해 항상
깨어 있으려는 마음의 집중을 말하며, 궁리는 사물의 이치를 탐구하여 궁극적인 지
식에 이르려는 격물치지(格物致知)를 뜻한다. 그리고 존양은 순선한 마음을 잃
어버리지 않도록 보존하는 것이며, 성찰은 우리의 마음이 악으로 흐르지 않도
록 반성하며 살피는 것을 뜻한다.
주희(朱熹, 1130~1200) ▶
2. 사랑〔仁〕에 바탕을 둔 질서 있는 세상은 어떻게 해야 실현될 수 있을까? 49
윤리와사상제출본.indb 49 2018-08-06 오전 11:35: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