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4 고 윤리와 사상
P. 54
1
도덕적 심성
3 한국 유교는 인간의 도덕적 심성을
어떻게 이해하였는가?
주 제 열 기 한국 유교는 인간의 도덕 감정과 일반 감정의 문제를 깊이 있게 탐구하는 조선 성리학으로 발전하였고,
조선 후기에는 성리학의 사변 철학적 한계를 비판하며 실학이 등장하였다. 조선 성리학의 특징은 무엇이
고, 실학사상은 어떤 의의가 있는지 생각해 보자.
이황과 이이가 생각하는 인간의 도덕적 심성의 차이는 무엇일까?
사단은 순수하게 선한 도덕적 사단은 칠정과 별개의 것이 아니라
감정이며, 칠정은 선과 악이 칠정 중에서 특히 선한 것만을 들어서
섞인 것으로 이 두 가지 감정을 말한 것으로, 칠정은 사단을
엄격하게 구별해야 합니다.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황 이이
학습 계획을 세워 보자.
1 이해하기 2 비교하기 3 성찰하기
이황의 심성론과 수양론 이황과 이이의 이기론 한국 유교의 특징
이이의 심성론과 수양론 이황과 이이의 수양 방법 조선 성리학의 한계
정약용의 심성론과 수양론 조선 성리학과 실학사상 실학사상의 의의
다음 과제를 수행해 보자.
모둠 토론 ‘도덕 본성’의 발현인가, ‘일반 감정’의 도덕적 조절인가? 교과서 56쪽
52 Ⅱ. 동양과 한국 윤리 사상
윤리와사상제출본.indb 52 2018-08-06 오전 11:35: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