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7 고 윤리와 사상
P. 57










이이: 일반 감정의 도덕적 조절 이이는 이(理)는 형체나 변화 능력이 없고, 기(氣)
는 형체와 변화 능력이 있다고 정의하였다.

그는 성혼에게 보낸 편지에서 “물은 모나거나 둥근 그릇에 담으면 모양이 달라지
고, 공기는 크고 작은 병에 따라 양이 달라진다.”라고 하면서 이와 기의 관계를 물과
05 그릇, 공기와 병의 관계로 비유하였다. 즉, 그릇과 병은 모양과 크기가 각기 다르지

만 그 속에 담긴 물과 공기는 근본적으로 같다는 것이다. 또한, 그릇이 움직이면 물
이 움직이지만 물이 스스로 움직이지는 않는 것과 같이 물과 그릇은 밀접하게 연결
▲ 이이(李珥, 1536~1584) 조선
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이이는 이는 보편적이고 기는 제한적이라 시대 기호학파를 대표하는 성리
학자로 호는 율곡이다.
는 이통기국(理通氣局)을 주장하였다.
10 이이는 이가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 보편성을 가지고, 반면에 기는 제약
을 받는 특수성을 가지고 있다고 규정하면서 이의 능동적 작용을 인정하지 않았다.

그는 이황의 이기호발설 가운데 사단은 이가 발하여 기가 따른다는 측면을 부정하
✽성혼(成渾, 1535~1598)
고, 칠정은 기가 발하여 이가 올라탄 것이라는 주장만을 받아들여 기발이승일도설 조선 중기의 성리학자로 이이와
학문적으로 교류하며 평생을 친
(氣發理乘一途說)을 주장하였다.
구로 지냈다.
15 이이는 이와 기를 서로 떨어질 수 없는 관계로 규정하였듯이, 사단과 칠정도 분리
된 것이 아니라 칠정 가운데 순선한 것이 사단이라고 하였다. 따라서 그는 칠정이

사단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하여 사단과 칠정은 모두 기가 발한 것으로 보았다.
또한, 인간이 도덕적 행위를 하지 못하는 까닭을 기의 국한성 때문이라고 보았다.
따라서 그는 변하기 쉽고 선악이 섞여 있는 기질지성을 교정하는 것을 수양의 방법

20 으로 제시하였다.
기질을 교정하는 방법은 역행(力行)이며, 역행의 구체적인 행위는 극기(克己)이

다. 극기는 예(禮)를 갖추고 규범을 준수하면서 사욕을 제거하는 것을 말한다. 이이
는 극기복례(克己復禮)를 강조하면서 도덕적 본성보다는 사회적으로 공인된 규범에

따라 일반 감정을 도덕적으로 조절하는 것을 중시하였다. 또한, 성(誠)과 경(敬)을 ✽성(誠)
유교에서는 ‘성’을 천도의 측면에
25 다 같이 중시하는 수양론을 제시하였다.
서는 진실한 이치(實理), 인도의
이이에 따르면, 성이란 하늘의 참된 이치이고 마음의 본체이다. 하지만 사람이 본 측면에서는 진실한 마음(實心)으
로 이해한다. 따라서 하늘(實理)
심을 회복하지 못하는 것은 사심이 가리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경으로 사심을
과 인간(實心)의 합일은 ‘성’을 통
제거하면 본체가 온전해진다고 하였다. 즉, 경은 공부하는 요령이고, 성은 공부한 뒤 해 이룰 수 있다고 한다.
의 경지이므로, 경을 통해 성에 이른다는 것이다.

30 나아가 이이는 “성이 아니면 천리의 본래 모습을 보존할 수 없고, 경이 아니면 한
몸을 주재하는 마음을 단속할 수 없다.”라고 하여 성과 경을 수양론의 두 가지 핵심
과제로 제기하였다. 따라서 성이 없으면 뜻을 세울 수 없고, 이치를 바로잡을 수 없

으며, 기질을 변화시킬 수도 없다고 하였다.
이황이 사단과 칠정을 구분하여 혼란한 현실 속에서도 변하지 않는 원리와 이상
을 통해 순수한 도덕 본성을 확보하려 하였다면, 현실을 보다 강조한 이이는 변화무

35 쌍한 기에서 이를 확보하면서 현실 속에서 이상을 추구하려 하였다.

3. 한국 유교는 인간의 도덕적 심성을 어떻게 이해하였는가? 55







윤리와사상제출본.indb 55 2018-08-06 오전 11:35:46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