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9 고 윤리와 사상
P. 59
1
3-2 이법적 실체와 마음의 기호 학습 요소
•성리학의 특징과 한계
•실학의 등장 배경
학 습 •조선 성리학의 특징과 한계를 이해할 수 있다. •정약용의 성기호설
목 표 •정약용의 성기호설을 이해하고 실학사상의 의의를 설명할 수 있다. •실학의 의의
이법적 실체를 중시한 조선 성리학의 특징과 한계는 무엇인가?
중국으로부터 성리학을 받아들인 후 조선에서는 ‘도덕적 본성을 어떻게 실현할 것
인가?’ 하는 문제를 둘러싼 방법론적 논쟁이 이황과 이이를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이러한 논쟁은 인륜의 실현이 천리(天理)를 확보함으로써 가능하다고 본 점에서 공
05
통되는 요소를 지니고 있다.
‘천리’는 하늘이 곧 이치라는 뜻이다. 동양에서 하늘을 가리키는 ‘천(天)’은 세 가
지 의미를 지니고 있다. 즉, 세계를 지배하고 다스리는 주재적(主宰的) 천, 별들이
운행하고 사계절이 순환하는 자연 현상으로서의 자연적(自然的) 천, 그리고 우주와
만물의 법칙이라는 이법적(理法的) 천이다. 성리학에서 말하는 ‘천리(天理)’는 곧 하
10
늘의 이법으로 자연의 질서와 인간의 사회를 관통하는 보편적 법칙을 말한다. 인간의 본성을 이법적
실체로 파악할 때 나타나는
성리학은 인간의 도덕적 본성이 곧 천리, 즉 하늘의 이치라고 주장한다. 천리는 우
문제점은 무엇일까?
주와 만물의 본체이며, 인간의 도덕적 본성은 바로 이러한 천리로부터 부여받은 것
이다. 따라서 인간을 포함한 자연계의 모든 존재는 인의예지(仁義禮智)라는 보편적
인 도덕규범의 질서로 해석되었다. 순수한 도덕적 본성의 발현과 천리의 실현을 주
15
장하는 조선 성리학에서 인간의 본성〔性〕은 이법적 실체로 파악되었다. 이는 인간의
마음속에 이법적 원리로서 본성을 설정하여 천리로부터 부여받은 도덕적 본성의 실
현을 강조하는 것으로 인간의 도덕적 지향성을 강조하는 주장이다. 하지만 이러한
주장은 인간의 도덕적 행위의 기준이 실제 삶 속에 있는 것이 아니라 초월적인 원리
의 세계에 있다는 점에서 한계를 드러낸다.
20
한편, 17세기 이후 동아시아 국가 간의 교류가 활발해지기 시작하면서 조선에서
는 사회 개혁을 통해 민생을 안정시키고자 하는 실학사상이 등장하였다. 실학은 청
의 고증학과 청에 전래된 서양의 기술을 수용하여 성리학적 사유가 공리공론으로
흐르는 폐단을 지적하면서 조선 후기 사회를 개혁할 여러 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해하기
자료
읽기 ‘이법적 실체’란 어떤 의미인가?
하늘이 명령한 것을 성(性)이라고 하고, 성을 따르는 것을 인간이 가야 할 길이라고 하며, 이러한 길에서 벗
어나지 않도록 수양하는 것을 교육이라고 한다. - 『중용』
도움 글 우주의 본체인 천리와 도덕의 근거인 성리(性理)가 우주의 보편적 법칙인 이(理)를 매개로 연결되어 있고, 자연의 질서와 사회
의 규범이 연속적 차원에서 도덕적 세계로 이어져 있다는 의미에서 조선 성리학은 인간의 본성을 ‘이법적 실체’로 이해하였다.
3. 한국 유교는 인간의 도덕적 심성을 어떻게 이해하였는가? 57
윤리와사상제출본.indb 57 2018-08-06 오전 11:35: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