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9 고 윤리와 사상
P. 49










맹자는 어린아이가 우물에 빠지려는 것을 보았을 때 사람들은 대체로 깜짝 놀라
고 측은한 감정을 지니게 되는데, 이것은 사람에게는 남의 고통이나 불행을 차마 그
냥 지나치지 못하는 마음, 즉 불인인지심(不忍人之心)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라고 보

았다. 즉, 사람에게는 도덕적 인간이 될 수 있는 네 가지 마음의 단서(사단)가 있으

05 며, 이것이 각각 인의예지를 실현할 수 있는 실마리라고 하였다. 이를 토대로 맹자 ✽인의예지(仁義禮智)
인: 타인에 대한 진실한 사랑
는 도덕의 성립 근거를 사단에 두었다.
의: 일을 마땅하게 처리하는 의
하지만 사람의 본성이 선하다면, 왜 본성이 악한 것처럼 보이는 사람이 있으며, 또 로움
예: 다른 사람을 공경하는 예의
도덕적으로 행동하지 않은 경우가 있는 것일까? 맹자는 사람에게는 단지 도덕적인
지: 옳고 그름을 분별하는 지혜
마음의 단서가 있을 뿐, 이를 확충하려는 노력이 없다면 선한 마음의 싹이 말라 죽
10 게 된다고 보았다. 그러한 까닭에 맹자는 사람의 선한 마음을 보존하고 선한 본성

을 기르는 존심양성(存心養性)의 수련을 강조하였다.
맹자는 도덕 수련의 방법으로 부동심(不動心)과 호연지기(浩然之氣)를 제시하였
다. 부동심은 부귀를 얻어도 교만하지 않고 빈천하게 살아도 절도를 잃지 않는 도덕
적 용기를 말하며, 호연지기는 어떤 권위와 폭력으로도 꺾을 수 없는 씩씩한 기상을

15 말한다. 어떤 일에도 흔들리거나 두려워하지 않는 용기와 꺾을 수 없는 기상은 오직
의(義)와 일치할 때 나타난다. 맹자는 도덕적 용기와 씩씩한 기상을 실천하는 사람

을 대인 또는 대장부라 하였다.
맹자는 성선설에 기초하여 정치사상을 전개하였다. 사람에게는 누구나 차마 그냥
지나치지 못하는 도덕적 마음이 있다고 전제하고, 통치자가 이러한 마음을 정치로
*역성혁명
20 확장할 때 올바른 정치가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따라서 맹자는 형벌로 강제하는 패
군주가 군주답지 못할 때 하늘
도 정치를 비판하고, 백성들의 고통을 차마 그냥 지나치지 못하고 자신의 고통처럼 의 뜻에 따라 혁명으로 왕조를
바꿀 수 있다는 의미로, 이는 공
느낄 수 있는 왕도 정치를 이상적 정치라 하였다. 맹자는 “백성이 귀하고 군주는 가
자의 정명론을 맹자가 계승하여
볍다.”라고 하며, 통치자가 백성의 삶을 안정시키지 못할 경우 통치자를 바꿀 수 있 심화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다는 역성혁명을 주장하였다.



탐구 이해하기, 성찰하기
활동
인간의 선한 본성을 어떻게 기를 것인가?


우산(牛山)의 나무가 예전에는 아름다웠다. 하지만 큰 나라의 근교에 있기 때문에 사
람들이 도끼로 베어내니 어찌 아름다울 수 있겠는가? …… 더군다나 소와 양을 방목하
니 저렇게 반들반들하게 된 것이다. 사람들이 산에 초목이 없는 것을 보고 여기에는 예
전부터 좋은 나무가 없었다고 생각한다. 이것이 어찌 산의 본성이겠는가? 또한, 사람에
게 어찌 인의(仁義)의 마음이 없겠는가? 양심을 잃어버리는 것이 역시 매일 매일 도끼로
나무를 베어내는 것과 같다. - 『맹자』, 고자 상 편

활동 1 윗글에서 우산의 나무가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지 말해 보자.

▲ 맹자(孟子, B.C. 372~B.C. 289) 활동 2 윗글을 읽고 맹자가 생각한 인간의 본성과 수양 방법을 설명해 보자.


2. 사랑〔仁〕에 바탕을 둔 질서 있는 세상은 어떻게 해야 실현될 수 있을까? 47







윤리와사상제출본.indb 47 2018-08-06 오전 11:35: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