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8 고 윤리와 사상
P. 88










실학의 근대 지향성 중국에서 한족이 세운 명(明)이 망하자 조선의 유학

자들은 스스로 문명의 정통성을 지키고 있다는 자부심으로 소중화론을 내
세웠다. 그러나 홍대용(洪大容, 1731~1783)은 지구가 둥글다는 지구설과

스스로 회전한다는 지전설을 수용하였다. 그는 이러한 학설을 바탕으로 어
느 곳이나 세계의 중심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하면서 종래 소중화론을 비롯한 05

▲ 홍대용이 만든 혼천의(숭실대 박물관 소장) 홍 중국 중심의 세계관을 비판하였다. 이처럼 중국을 보는 관점이 점차 바뀌게
대용은 천문학 연구를 통해 일식과 월식, 밀물
과 썰물, 비구름 등의 자연 현상을 과학적으로 되자 민족의식이 각성되었다.
설명하려 하였다.
그 결과 우리의 역사, 지리, 언어, 문화 등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국학
연구가 활발해졌다. 이 밖에도 정약용을 비롯한 여러 실학자가 당면한 조선 사회의
✽소중화론(小中華論) 여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토지, 조세, 신분 제도 등을 비판하면서 다양한 개혁 방 10
중국의 주변국이 스스로를 중국
안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이 조선 후기에 등장한 실학은 민본주의와 평등 사회를 구
의 다음가는 문명국가라고 여겼
던 자부심으로, 명이 망한 후 조 현하려는 근대 지향적인 사상이었다.
선에서 소중화 의식은 더욱 강
화되었다.
강화학파 사상은 어떤 특징이 있는가?
✽사문난적(斯文亂賊)
양명학의 수용 조선의 유학은 일반적으로 주희가 집대성한 성리학 중심이었지만
유교, 즉 성리학의 가르침을 어
지럽히는 도리에 어긋나는 언행 왕수인이 집대성한 양명학도 일찍부터 조선에 전해져 연구되었다. 하지만 이황이 왕수 15
을 하는 사람이라는 뜻이다.
인의 학설을 비판한 이후로 양명학을 공부하는 학자들은 사문난적으로 지목되었다.


이해하기
자료
읽기 실학의 개혁 사상과 근대 지향성

◈ 유형원의 신분제 비판
우리나라의 노비법은 유죄 무죄를 묻지 않고, 오직 그 가계를 조사하여 자손 대대로 노비가 되니, 설령 어
진 인재가 노비 사이에 태어난다고 해도 역시 벼슬길을 막아 관직에 나아가지 못하게 하여 남의 노비가 되고
마니 어찌된 도리인가. …… 노비 세습을 혁파하고 그 대신에 고용 제도를 채택함이 지극히 공평하고 당연한
길이 아니겠는가? - 유형원, 『반계수록』

◈ 정약용의 토지 개혁론
이제 농사짓는 사람에게는 토지를 갖게 하고, 농사짓지 않는 사람에게는 토지를 갖지 못하게 하려면 여전제를
실시해야 한다. …… 1여(閭)에 여장을 두고, 무릇 1여의 토지는 여민이 공동 경작하도록 하며, 내 땅 네 땅의 구
별이 없게 하여 오직 여장의 명령에만 따른다. …… 여장은 매일 여민의 노동량을 장부에 기록해 두었다가 가을
이 되면 오곡의 수확물을 모두 여장의 집에 가져온 다음 분배한다. 이때 국가에 바치는 세를 먼저 제하고, 다음
에는 여장의 봉급을 제하며, 그 나머지를 가지고 노동량에 따라 여민에게 분배한다. - 정약용, 『전론』


◈ 박제가의 상공업 진흥론
재물은 대체로 샘과 같다. 퍼내면 차고, 버려두면 말라 버린다. 그러므로 비단옷을 입지 않아서 나라에 비
단 짜는 사람이 없게 되면 여공이 쇠퇴하고, 쭈그러진 그릇을 싫어하지 않고 기교를 숭상하지 않아서 공장(수
공업자)이 기술을 익히는 일이 없게 되면 기예가 망하게 되고, 농사가 황폐해져서 그 법을 잃게 되며, …… 사
농공상 사민이 모두 곤궁하여 서로 구제할 수 없게 된다. - 박제가, 『북학의』


86 Ⅱ. 동양과 한국 윤리 사상







윤리와사상제출본.indb 86 2018-08-06 오전 11:36:17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