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2 고 윤리와 사상
P. 92
1
7-2 동양의 이상적 인간상과 시민 •동양의 이상적 인간상
학습 요소
•유교 사상의 현대적 의의
학 습 •동양의 이상적 인간상을 비교하여 이해할 수 있다. •불교 사상의 현대적 의의
목 표 •유교, 불교, 도가 사상의 현대적 의의에 대해 토론할 수 있다. •도가 사상의 현대적 의의
동양 윤리 사상의 이상적 인간상은 무엇인가?
유교의 이상적 인간상 유교는 내세보다는 현실 속에서 살아가는 인간을 중심으
로 하는 인본주의 사상이다. 유교 사상은 개인의 윤리적 주체성과 공동체의 사회성
을 특징으로 한다. 그래서 유교에서는 남에게 보이기 위한 위인지학(爲人之學)이 아
니라, 자신의 윤리적 성숙을 추구하는 위기지학(爲己之學)을 강조하였다. 05
유교의 이상적 인간상을 가리키는 ‘군자(君子)’는 자아의 완성을 위해 끊임없이
스스로 성찰하면서 개인의 도덕적 수양과 사회적 책무를 실천하는 ‘어진 사람〔仁
人〕’이다. 예를 들어 위정자의 잘못을 바로잡기 위해 간언 또는 상소하거나, 공정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는 일, 국가의 독립이나 세계 평화의 실현을 위해 자기
자신을 희생하는 일 등은 인(仁)을 사회적으로 실천하려는 지사(志士)의 삶과 정신 10
을 잘 보여 주는 사례이다.
불교의 이상적 인간상 불교 사상의 핵심은 연기(緣起)이다. 연기의 법칙은 이 세
상의 모든 것은 상호 의존적이며, 다양한 원인과
조건에 의해서 생겨나고 또 소멸한다는 것이다. 이
세상의 모든 괴로움은 우리가 미처 깨닫지 못한 원 15
인과 조건에 의해 생겨나므로, 깨달음을 통해 그
▲ 안중근 유묵 안중근이 독립운동
원인을 제거함으로써 괴로움이 없는 해탈과 열반
중 옥중에서 쓴 글로, ‘지사인인
살신성인ʼ은 뜻 있는 선비와 어 의 경지에 도달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처럼 연기의
진 사람은 옳은 일을 위해 목숨
을 버린다는 뜻이다. 법칙을 깨달아 현재의 괴로움에서 벗어나는 것이
불교의 이상이고, 깨달은 자가 곧 부처이다. 20
불교의 이상적 인간상은 ‘보살(菩薩)’이다. 보살
은 깨달음을 얻어 부처가 되기 위해 노력하는 사
람을 일컫는다. 특히 대승 불교에서는 자비의 실천
을 강조하면서 자신뿐만 아니라 타인의 깨달음까
지 중시한다. 따라서 보살은 스스로 깨달음을 얻기 25
위해 노력하지만 중생 구제를 실천하는 사람이기
도 하다. 즉, 위로는 깨달음을 구하고 아래로는 중
생을 교화한다는 ‘상구보리(上求菩提) 하화중생(下
化衆生)’이 바로 보살의 길이다. ▲ 지장보살(고려 후기, 미국 메트로폴리탄
박물관 소장)
30
90 Ⅱ. 동양과 한국 윤리 사상
윤리와사상제출본.indb 90 2018-08-06 오전 11:36: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