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1 고 윤리와 사상
P. 91
급진 개화파는 일본의 메이지 유신을 모델로 급격한 서양화를 꾀하였다. 이후 개
화사상은 갑오개혁(1894)으로 이어졌다. 갑오개혁은 일제의 간섭 아래 진행되었다
는 한계가 있으나, 이것으로 조선의 정치, 경제, 사회 제도가 근대적으로 바뀌었고,
무엇보다도 신분제 폐지를 통해 평등한 근대 사회의 기틀이 마련되었다.
05 동학사상 19세기 중엽 이후로 조선은 내리막길로 치달았으며, 정치·경제적 상
황은 날로 악화되어 갔다. 더구나 외세의 침략과 더불어 사회 혼란이 가중되고 유교
적 질서가 붕괴되면서 사람들은 새로운 세상을 기원하였다. 이러한 시대적 조류에
▲ 최제우(崔濟愚, 1824~1864)
부응하여 다양한 신흥 종교가 등장하였다. 동학은 최제우가 창시한 민족 종교로 천
주교를 일컫는 서학과 대비되는 말이다. 그는 “내 또한 동방에서 태어나 동쪽의 도
10 (道)를 받았으니 도는 하늘의 도이나 학(學)은 동학이다.”라고 하였다.
동학의 기본 가르침은 자신의 마음속에 있는 천주를 모신다는 시천주(侍天主) 사
상과 이를 확대하여 사람을 하늘같이 섬긴다는 사인여천(事人如天) 사상이다. 이후
제3대 교조 손병희(孫秉熙, 1861~1922)는 천도교로 이름을 바꾸고, 사람이 곧 하늘
이라는 인내천(人乃天) 사상을 체계화하였다.
탐구 성찰하기
활동
개화의 진정한 의미는 무엇인가?
개화는 실상의 개화와 허명의 개화로 분별된다. 실상의 개화는 사물의 이치와 근본
을 깊이 연구하고 고증하여 그 나라의 처지와 시세에 합당케 하는 경우이다. 허명의
개화는 사물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면서도 남이 잘된 모습을 보면 부러워서 그러든지
두려워서 그러든지, 앞뒤를 헤아릴 지식도 없이 덮어놓고 시행하자고 주장하여 돈은
적지 않게 쓰면서도 실용성은 그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이다.
지나친 자는 아무런 분별도 없이 외국의 것이라면 모두 다 좋다고 생각하고 자기
나라 것이라면 무엇이든지 좋지 않다고 생각한다. 심지어는 외국 모습을 칭찬하는 나
머지 자기 나라를 업신여기는 폐단까지도 있다. 이들을 개화당이라고 하지만 이들이
어찌 개화당이랴. 사실은 개화의 죄인이다.
한편 모자라는 자는 완고한 성품으로 사물을 분별치 못하여, 외국 사람이면 모두
▲ 유길준(兪吉濬, 1856~1914)
오랑캐라 하고 외국 물건이면 모두 쓸데없는 물건이라 하며, 외국 문자는 천주학이라
우리나라 최초 미국 유학생이자 『서
유견문』의 저자이다. 유길준은 개화 고 하여 가까이하지도 않는다. 자기 자신만이 천하제일이라고 여기며, 심지어는 피
에 대해 타인의 장점을 취하고 자신
해 사는 자까지도 있다. 이들을 수구당이라고 하지만 이들이 어찌 수구당이랴. 사실
의 아름다운 것을 지키고 보존하는
일이라고 하였다. 은 개화의 원수이다. 또한, 입에는 외국 담배를 물고, 가슴에는 외국 시계를 차며, 의
자에 걸터앉아 외국 풍속을 이야기하거나 외국 말을 얼마쯤 지껄이는 자가 어찌 개화
인이라고 할 수 있겠는가. 이는 개화의 죄인도 개화의 원수도 아니다. 개화라는 헛바람에 날려서 마음속에
주견도 없는 한낱 개화의 병신이다. - 유길준, 『서유견문』
활동 1 위의 자료를 읽고 개화의 진정한 의미가 무엇인지 자신의 생각을 정리하여 발표해 보자.
활동 2 오늘날 세계화 시대에서 외국 문화를 이해하는 바람직한 자세는 어떠해야 하는지 친구들과 토론해 보자.
7. 현대 사회에서 한국과 동양 윤리 사상이 갖는 의의는 무엇인가? 89
윤리와사상제출본.indb 89 2018-08-06 오전 11:36: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