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0 고 윤리와 사상
P. 90
근대 격변기에 등장한 한국 전통 사상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위정척사 19세기 중엽 이후로 서양 각국은 식민지 확보를 위해 경쟁적으로 아시
아 각국을 침략하였다. 일본을 포함한 제국주의 열강은 무력을 앞세워 조선에 개국
과 통상을 강요하였다. 개항 후 서양의 문물이 대량으로 유통되면서 조선의 전통적
인 윤리 사상은 동요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가치 혼란을 극복하기 위해 유교를 바 05
른 것으로, 서양을 사악한 것으로 구분하여 유교의 도덕적 정통성을 강조하는 위정
✽
척사론(衛正斥邪論)이 등장하였다. 이른바 화서학파로 불리는 위정척사파는 이와
▲ 이항로(李恒老,1792~1868) 기의 엄격한 구별을 전제로 옳음과 사악함, 유교의 도(道)와 서양의 기술〔器〕을 이분
법적으로 파악하였다. 또한, 서양의 종교뿐만 아니라 과학 기술과 문물을 모두 이단
으로 규정하고, 서양과 일본 세력을 강력하게 배척하였다. 10
✽화서학파 서양 오랑캐가 반드시 그 술책을 전파하기 위하여 어리석은 백성을 현혹하여 널리 조약
화서는 조선의 유학자 이항로의
을 맺어서, 그들이 하고 싶은 것을 멋대로 할 것이다. 지금 천하는 서양에 중독된 지가 오래여
호이다. 그의 문하에 많은 유학
서 의복, 음식, 성악, 기물이 모두 섞여 있는데도 그것을 깨닫지 못하니, 몇 해 못 되어 어육(魚
자들이 배출되어 위정척사파 중
최대 세력을 이루었다. 이들은 肉)의 참화를 당하게 될 것이다. - 최익현, 「화서이항로신도비명」
개항 반대 상소 운동, 항일 의병
운동 등을 전개하였고, 이후 일
제 강점기 독립 운동에 많은 영 위정척사파는 일찍이 불평등 조약에 의거한 개국이 경제적 침략으로 이어질 것을 15
향을 미쳤다. 예견하면서 외국 제품을 사용하지 말고 사지도 말자고 주장하였다. 그들의 배타적
인 자세는 시류에 뒤떨어진 듯이 보인다. 하지만 그들의 문화적 자존감에 근거한 우
국 정신과 민족주의 성격은 이후 항일 의병 운동과 독립 운동으로 이어졌다.
개화사상 개화사상에는 근대 국민 국가를 형성하기 위해 그동안 조선 사회를 지
탱해 온 유교를 버려야 한다는 급진적 입장이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유교의 가치 20
를 인정하면서 유교가 윤리 사상에서 여전히 유용한 작용을 할 수 있다고 여기는 온
건한 입장이 있다.
19세기 후반에 이르러 조선에는 서양의 종교와 과학뿐만 아니라 정치와 사회, 인
문과 지리에 관한 정보가 전해졌다. 중국과 일본을 다녀온 사신들은 냉정한 세계 질
서와 새로운 근대 문명을 몸소 경험할 수 있었다. 1880년대에 들어 청의 양무운동을 25
모델로 하여 점진적 개혁을 추구하는 온건 개화파가 등장하였다. 이들은 청과의 전
통적인 외교 관계를 중시하였고, 유교적 질서를 유지하되 서양의 과학 기술은 받아
들이자는 이른바 동도서기론(東道西器論)을 주장하였다.
한편, 청으로부터의 독립, 문벌 폐지, 만민
평등 등을 주장하며 일어난 갑신정변(1884)은 30
국민의 지지를 받지 못하고 3일 만에 실패로 끝
났지만, 급진 개화파의 등장을 알리는 신호였다.
◀ 이화 학당 1886년 설립한 한국 최초의 사립 여성 교육 기관이다.
88 88 Ⅱ
Ⅱ. 동양과 한국 윤리 사상. 동양과 한국 윤리 사상
윤리와사상제출본.indb 88 2018-08-06 오전 11:36: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