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05 고 윤리와 사상
P. 105
그는 “너 자신을 알라.”라는 델포이 신전의 경구를 받아들여, 먼저 우리가 얼마나
무지한가에 대해 성찰할 것을 주장하였다. 우리가 참이라고 믿고 있는 것들이 사실
은 근거가 빈약한 편견에 불과할 수 있으므로, 우선 자신부터 철저히 되돌아봄으로
✽
써 편협한 경험적 독단주의로부터 벗어날 것을 권고하였다.
05 자신이 모르면서도 알고 있다고 믿는 것이 인간이 가진 무지 중에서 가장 큰 무지입니다.
…… 여러분은 지혜와 힘에 있어서 최고의 평판을 듣고 있는 아테네의 시민입니다. 그런 여러
분이 자신의 영혼을 돌보는 일을 게을리하면서 더 많은 부와 명성을 쌓는 일에 몰두한다면, 그 ▲ 소크라테스(Socrates, B.C. 470?
~B.C. 399) 플라톤을 비롯하여
것이야말로 부끄러워해야 할 일 아니겠습니까? …… 나는 아테네의 시민을 찾아다니면서 신 많은 제자를 길러 낸 고대 그리스
체나 재산이 아니라 각자의 영혼을 최상의 상태로 가꾸도록 하는 일을 하라고 설득할 것입니 의 철학자이자 스승으로, 사람들
10 다. - 플라톤, 『소크라테스의 변명』 과 대화를 통해 자신의 무지를 스
스로 깨닫게 하였다.
영혼의 훌륭한 상태가 있지 않겠소? …… 올바른 영혼과 올바른 사람은 훌륭하게 살게 되
겠지만 올바르지 못한 영혼과 올바르지 못한 사람은 잘못 살게 될 것이오. 따라서 훌륭하게
사는 사람은 복을 받고 행복할 것이나 그렇지 못한 사람은 그 반대일 것이오. 그러니까 올바 ✽경험적 독단주의
경험을 통해 얻은 부분적이고
른 사람은 행복하되, 올바르지 못한 사람은 불행하오. 또한 불행하다는 것은 이득이 아니 되
불완전한 지식을 검토하지 않고
15 지만, 행복하다는 것은 이득이 되오. 그러니 보시오. 올바르지 못함은 올바름보다 결코 이득
주관적 편견으로 판단하거나 주
이 되지 않소. - 플라톤, 『국가』 장하는 태도를 일컫는다.
소크라테스는 인간의 본질이 정신, 즉 영혼에 있다고 생각하였다. 육체는 우리 영
혼을 구속하는 감옥이므로, 육체적 차원의 지식, 즉 경험과 관찰을 통해 얻은 불완
전한 지식을 철저히 검토하여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소크라테스는 경험을 통해 얻
20 은 단편적인 지식이 아무리 많이 쌓이더라도, 그것은 정신 곧 인간의 본질을 구현
하는 데 도움이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방해가 될 수 있다고 보았다. 따라서
그가 말하는 훌륭한 인간이란 정신이 그 본성을 잘 발
휘할 수 있는 인간을 뜻하며, 그가 말하는 윤리적 삶이
란 정신이 제 역할을 탁월하게 수행하는 것을 말한
25 다. 다시 말해 올바른 영혼이란 정신의 탁월한 상
태이다.
델포이 신전 ▶
1033
1. 보편주의 윤리는 어디에서 기원했는가? 10
1. 보편주의 윤리는 어디에서 기원했는가?
윤리와사상제출본.indb 103 2018-08-06 오전 11:36: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