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04 고 윤리와 사상
P. 104










상대주의 윤리 “인간은 만물의 척도이다.”라는 프로타고라스의 주장은 대표적인
상대주의의 입장이다. 그는 똑같은 사물이라도 보는 사람에 따라서 각기 다르게 받
아들일 수 있기 때문에 사람마다 판단의 기준이 다를 수밖에 없다고 주장하였다. 따

라서 모든 주장은 상대적인 것이고, 옳고 그름의 가치 판단도 개인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보편적인 윤리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05

소피스트들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지금 벌어지고 있는 토론에서 사람들을 당장
설득할 수 있는 기술이었다. 토론에서 이기는 방법은 그 상황에서 나에게 유리한 정
▲ 프로타고라스(Protagoras, B.C.
485? ~B.C. 410?) 고대 그리 보와 주장을 융통성 있게 활용하는 수사학을 익히는 것이었다. 소피스트들은, 객관
스의 대표적인 소피스트로 불리 적 진리나 보편적 윤리는 물론 있지도 아니하지만 있다고 하더라도 토론에서는 아
는 철학자이자 사상가로 상대주
의적 진리론을 주장하였다. 무 쓸모가 없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방해가 될 뿐이라고 주장하였다. 10



소피스트 윤리 사상의 특징 객관적 진리와 보편적 윤리를 부정하는 소피스트들의
윤리적 상대주의는 윤리적 회의주의 또는 윤리적 허무주의와 밀접히 연관되어 윤리가

존재할 수 있는 기반 자체를 허물 수 있는 위험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소피스트의 윤
리 사상에도 몇 가지 주목할 점이 있다.
✽산파술 첫째, 소피스트들에 의해서 학문적 관심이 자연에서 인간과 사회로 바뀌었다. 소 15
산파는 산모가 아이를 낳을 때
피스트의 등장 이전에 철학의 주제는 ‘만물의 근원은 무엇인가?’였으나, 이후 ‘인간
도움을 주는 사람이다. 소크라테
스는 상대방과 묻고 답하는 문 이란 무엇인가?’ 또는 ‘좋은 삶이란 무엇인가?’로 바뀌었다.
답법을 통해 비판적 사고 과정
둘째, 소피스트들은 기존의 가치에 대한 절대성을 부정하고 의심하면서 풍부한 경
을 이끌어 주는 역할을 하였다.
험과 관찰에 근거하여 사회 규범이나 도덕에 대한 다양한 지식을 얻으려고 하였다.
그 결과 이들의 윤리 사상은 후에 경험주의와 쾌락주의, 그리고 실용주의 등에 영 20

향을 주었다.
어떻게 사는 것이
윤리적인 삶일까?
소크라테스의 윤리 사상은 어떤 특징이 있는가?
소크라테스의 산파술 소피스트들의 상대주의 윤리 사상에 맞서 보편적

윤리를 펼친 사상가는 바로 소크라테스이다. 소크라테스는 윤리적 상대주의
를 넘어서 보편적인 윤리가 존재한다는 점을 아테네의 젊은이들에게 질문을 25
통해 스스로 깨닫도록 가르치면서 일생을 보냈다.

✽ 산파술이라고 일컬어지는 소크라테스의 이러한 방법은 감각적 경험
보다 합리적 이성에 근거하고 있다는 점에서 서양 윤리 사상이 이성 중

심 윤리로 발전하는 과정에서 결정적 역할을 하였다. 또한, 탈옥을
할 수 있는 기회가 있음에도 기꺼이 독배를 선택한 그의 마지막 선 30
택은 개인적 이해관계를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공동체를 위한 보편

적 의무를 실천한 귀감이 되고 있다.
소크라테스는 우리가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서는 먼저 우리 자신에 대해 잘 알아야 된다고 생각하였다.


102 Ⅲ.
102 Ⅲ. 서양 윤리 사상서양 윤리 사상





윤리와사상제출본.indb 102 2018-08-06 오전 11:36:44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