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06 고 윤리와 사상
P. 106











✽덕(aret ) 소크라테스 윤리 사상의 특징 소크라테스는 정신의 탁월함이 곧 덕(德)이라 하
‘aret ’는 그리스어로 ‘가장 좋
였다. 지혜, 용기, 절제, 정의, 경건 등이 바로 그가 제시하는 정신의 구체적인 덕이
다.’를 뜻하는 ‘아리스토스
(aristos)’에서 나온 말로서 탁월 다. 이러한 덕을 갖추기 위해서는 당연히 그 덕이 무엇인지 제대로 알아야 한다. 지
한 것, 뛰어난 소질이나 능력 등
혜가 무엇인지 모른 채 지혜 있는 사람이 될 수는 없기 때문이다. 그는 모든 덕은 참
을 의미한다.

된 앎에서 나오고, 모든 악은 무지에서 비롯하므로 참된 앎을 쌓아갈 때 인간은 비 05
✽무지(無知) 로소 진정한 행복을 누릴 수 있다고 하였다.
소크라테스는 사람들이 자신의
소크라테스는 각각의 덕이 무엇인지 정확히 알게 된다면 당연히 그 덕에 따라 행
알지 못함을 스스로 깨닫는 것
이 참된 앎의 시작이라고 강조 동할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즉, 덕에 대한 정확한 지식이 곧 덕을 실천하는 행동으
하였다.
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이처럼 참된 앎은 반드시 행위로 드러난다는 점에서 소크라

테스의 사상을 주지주의라고 말한다. 그뿐만 아니라 소크라테스는 덕에 대한 정확 10
✽주지주의(主知主義)
한 지식을 바탕으로 덕을 실천하면 행복으로 나아갈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이 점에
인간의 감정이나 욕구, 행동보다

는 이성이나 이론, 사유 등 지적 서 소크라테스의 사상은 지덕복합일설이라고 할 수 있다.
인 것을 중시하는 사상을 말한
다.
소크라테스 사상은 서양 윤리 사상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가?
✽지덕복합일설(知德福合一說)
소크라테스의 사상은 수많은 논쟁을 불러왔다. 그 첫째 논쟁은 소크라테스가 제
참된 앎을 바탕으로 덕을 쌓아
갈 때 행복을 얻을 수 있다는 주 시한 사상 자체에 대한 것이다. 즉, ‘덕에 대한 정확한 앎은 바로 도덕적 실천으로 이 15
장이다.
어질 수 있는가?’, ‘유덕한 사람이 정말 행복한가?’ 등이다. 둘째 논쟁은 소크라테스
의 삶에 대한 논쟁이다. ‘이렇게 훌륭한 삶을 살고자 한 소크라테스 자신은 왜 아테
네 시민 법정에서 유죄 판결을 받을 수밖에 없었는가?’, ‘소크라테스가 탈옥을 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탈옥을 하지 않고 결국 독배를 든 것은 정말 최선의 선택이었을

까?’, ‘도대체 훌륭한 삶이란 무엇인가?’ 등이다. 20
소크라테스의 사상과 삶이 제기한 이러한 질문으로 대표되는 고대 그리스 윤리
사상은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를 통

해 더욱 발전하였다. 이들의 윤리 사상
은 헤브라이즘과 더불어 보편적 윤리의

정초를 마련하였으며, 오늘날까지 서양 25
정신세계와 가치관에 절대적 영향을 주
고 있다.

한편, 기원전 4세기경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동방 원정으로 그리스의 도시 국

가 체제가 무너지면서 아테네에서는 사 30
회적 혼란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혼란
상황에서 시민으로서 공동체에 참여하

기보다는 개인으로 돌아와 자신의 내면
을 살피면서 마음의 평안을 추구하는 윤

▲ 아테네 법정에 선 소크라테스 리 사상이 유행하였다.
104 Ⅲ. 서양 윤리 사상







윤리와사상제출본.indb 104 2018-08-06 오전 11:36:51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