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11 고 윤리와 사상
P. 111
2-1 영혼의 정의와 행복 학습 요소
•플라톤의 윤리 사상
•이데아
학 습 •플라톤 윤리 사상의 특징을 이해할 수 있다. •영혼의 정의와 행복
목 표 •플라톤이 강조하는 영혼의 정의와 행복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4주덕
플라톤의 윤리 사상은 어떤 특징이 있는가?
보편적 윤리를 강조한 소크라테스의 사상은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를 거쳐 오
늘날까지 면면히 이어지고 있다. 훌륭한 정치가가 되고자 했던 청년 플라톤은 도덕
적 이상을 강조한 스승 소크라테스가 아테네 시민 법정에서 사형 판결을 받자 주로
✽
05 학문에 몰두하는 길을 택하였으며, 아카데메이아를 세워 학술 연구와 제자 교육으
로 삶을 마무리했다. 이처럼 플라톤이 당면하였던 이상과 현실 사이의 갈등은 ‘어떻
게 살아야 하는가?’라는 윤리의 근본 문제를 극적으로 보여 준다.
플라톤의 윤리 사상의 핵심은 소크라테스와 마찬가지로 주지주의이다. 즉, 윤리적
▲ 플라톤(Platon, B.C. 428?~B.C.
으로 살고자 한다면 먼저 진리를 제대로 알아야 한다고 주장한다는 점이다. 플라톤 347?)
✽
10 에 따르면, 진리란 이데아에 대한 앎이다. 이데아란 다양한 현상을 넘어 있으면서도
그 현상들을 가능하도록 하는 보편적인 본질을 의미한다. 따라서 진리란 이성을 통 ✽아카데메이아(Acad meia)
해 이데아에 대해 알게 된 보편적인 것이다. 플라톤이 세운 학교로 이상적인
통치자가 받아야 할 철학과 산
플라톤에 따르면 현실에서 경험을 통해 알게 되는 것은 개별적인 것들에 대한 단순
술, 기하학, 천문학 등을 가르쳤
한 추측이거나 편협한 의견일 뿐이다. 따라서 우리가 현실 세계에서 보는 현상들은 다.
15 마치 동굴 속에 갇힌 죄수들이 보는 그림자처럼 불완전한 모방들일 뿐이다. 동굴 속
✽이데아(idea)
의 죄수처럼 단지 몇몇 개의 불완전한 것들을 보고 전체에 대한 보편적 진리를 얻을 플라톤은 이데아를 사물의 영
원하고 불변하는 본질적인 원형
수는 없다. 보편적인 참된 진리는 태양이 빛나는 곳인 동굴 밖으로 나왔을 때, 즉 이
(原形)이라고 보았으며, 구체적
데아의 세계에서 비로소 얻게 된다. 이러한 이데아들 중 최고의 이데아는 바로 선(善) 인 현실의 사물은 단지 이데아의
모방에 지나지 않는다고 주장하
의 이데아이다. 따라서 선의 이데아에 대한 참된 앎이 최고의 보편적 진리인 것이다.
였다.
이해하기
자료
읽기 플라톤의 동굴 우화: 이데아란 무엇인가?
땅속 동굴에 있는 죄수들은 어릴 때부터 동굴 벽 쪽만 바라보도
록 손과 발 그리고 목이 묶여 있다. 그들 등 뒤에 있는 불빛 덕분
에 동굴 벽에는 그림자들이 어른거린다. …… 뒤를 돌아볼 수 없도
록 묶인 사람들은 자신들이 평생 본 것들이 사실은 동굴 벽면에 비
친 그림자에 불과하다는 사실을 알지 못한다. …… 하지만 누군가
가 묶여 있던 줄에서 풀려나 불빛 쪽을 본다면 처음에는 눈이 아파
서 힘들어할 것이다. 차차 불빛에 익숙해지고, 더 나아가 동굴을 벗
어나면 동굴 밖의 밝은 세상을 보게 될 것이다. - 플라톤, 『국가』
2. 덕 있는 삶이란 무엇인가? 109
윤리와사상제출본.indb 109 2018-08-06 오전 11:36: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