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13 고 윤리와 사상
P. 113
국가관 플라톤은 인간의 영혼에 세 부분이 있듯이, 인간의 공동체인 국가 역
시 통치 계급, 군인 계급, 생산 계급으로 구성된다고 주장한다. 이데아
세계
통치 계급의 경우, 나라 전체의 운명을 좌우하는 정책을 결정하고 집행하는
것이 고유 역할이라는 점에서 지혜의 덕이 요구된다. 군인 계급에게는 나라를
철학자 통치 계급
05 지키기 위해 적들에 맞서 용감히 싸울 수 있는 용기의 덕이 요구된다. 농민이 (지혜의 덕)
나 상인과 같은 생산 계급에게는 노동을 통해 공동체가 필요로 하는 물건 군인 군인 계급
(용기의 덕)
을 생산하고 원활하게 유통하는 데 필요한 절제의 덕이 요구된다.
그런데 최고의 지혜란 바로 이데아에 대한 보편적인 진리를 인식하 농민, 상인
(절제의 덕) 생산 계급
는 것이다. 이런 지혜를 갖춘 자가 바로 철인(哲人)이다. 따라서 지
10 혜라는 이성의 덕을 갖춘 철인이 국가를 다스릴 때 비로소 그 국가
는 정의로운 국가가 될 수 있다. 그렇다면 현실에 존재하는 국가는
어떻게 정의로운 국가가 될 수 있을까?
철학자들이 나라의 왕이 되지 않거나, 현재 왕이나 다스리는 자가 참된 지혜를 사랑하지
않는 한, 모든 나라나 인류에게 나쁜 것들이 완전히 사라지는 일은 없다. - 플라톤, 『국가』
✽4주덕
15 플라톤이 말하는 이상적인 인간
플라톤은 완벽한 철인이 다스리는 이상 국가를 모범으로 삼아 따라야 한다고 주 은 지혜. 용기, 절제의 덕을 갖춘
장한다. 마찬가지로 인간 역시 이상적인 인간이 되기 위해서는 지혜, 용기, 절제, 정 사람이며, 이 세 가지 요소를 조
화롭게 하는 덕을 정의라고 하
의의 4주덕을 갖춘 이상적 인간인 철학자를 모범으로 본받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였다.
✽
탐구 성찰하기
활동
기게스의 반지: 남에게 들키지 않으면 잘못된 행동을 해도 되는가?
기게스는 리디아 왕의 가축을 돌보는 목동이다. 그가 양을
돌보던 어느 날 갑자기 큰 지진이 일어나 땅이 갈라지면서 동
굴이 생겼다. 호기심에 안으로 들어간 기게스는 그곳에서 거
인의 시체를 발견하였다. 거인의 손가락에는 금반지 하나가
끼워져 있었고, 기게스는 그것을 가지고 나왔다. 어느 날 반
지를 손가락에 끼우고 놀다가 우연히 반지를 안쪽으로 돌리
면 자신의 모습이 보이지 않게 되고, 다시 바깥쪽으로 돌리면
보이게 된다는 사실을 알았다. 남에게 보이지 않는 힘을 갖게
되자 그는 곧 나쁜 마음을 품었다. 왕에게 가축의 상태를 보고하기 위해 궁에 들어간 기게스는 반지의 힘을 이용하여
보이지 않게 한 후 왕을 죽이고 왕비와 결혼하여 스스로 리디아의 왕이 되었다. - 플라톤, 『국가』
활동 1 윗글을 읽고 기게스가 반지의 힘을 이용하여 한 행위를 플라톤의 입장에서 평가해 보자.
활동 2 자신이 기게스의 반지를 가지고 있다면 어떤 일을 할 것인지 각자 말해 보고, 이러한 행위가 과연 정의로운 행위인지 친구들과 토
론해 보자.
2. 덕 있는 삶이란 무엇인가? 111
윤리와사상제출본.indb 111 2018-08-06 오전 11:36: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