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17 고 윤리와 사상
P. 117











해답 219쪽
단원 마무리 1 다음 문장을 완성해 보자.

( ㉠ )의 이상주의적 윤리 사상과 ( ㉡ )의 현실주의적 윤리 사상은 대조를
이룬다. 플라톤의 윤리 사상은 ( ㉢ )에 대한 참된 앎을 최고의 보편적인 진리
주요 용어ㆍ개념 로 본다는 점에서 주지주의로, 아리스토텔레스 윤리 사상은 이성뿐만 아니라
( ㉣ ) 역시 중요하게 간주한다는 점에서 주의주의로 불린다.
이데아
영혼의 정의
자아실현
현실주의
2 옳은 것에 ○표, 잘못된 것에 ×표를 해 보자.
이상주의
주지주의 1)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는 보편적 진리를 강조한 소크라테스의 사상을
주의주의 계승하였다.
2) 아리스토텔레스는 선의 이데아에 대한 참된 앎을 최고의 보편적인 진리
핵심 내용 정리 로 간주하였다.
3) 플라톤은 이성의 덕을 탁월하게 발휘하는 이론적 지혜와 품성의 덕을
1 플라톤의 윤리 사상
적절하게 발휘하는 실천적 지혜를 강조하였다.
• 주지주의: 소크라테스 사 4) 플라톤의 윤리 사상은 아우구스티누스의 교부 철학에, 아리스토텔레스
상 계승 이데아 추구
의 윤리 사상은 아퀴나스의 스콜라 철학에 영향을 주었다.
•플라톤의 동굴 우화

현실 세계 이데아 세계
(지식=편견) (보편적 진리)
3 관련 있는 내용을 바르게 연결해 보자.
• 이상주의적 윤리 사상
1) 플라톤 ㉠ 모든 것에는 목적이 있다. 목수의 목적은 좋은 집을
인간관 국가관 짓는 것이며, 말의 목적은 잘 달리는 것이다. 인간
(영혼의 정의) (철인 국가)
행위의 최고 목적은 행복이다.
2) 아리스토텔레스 ㉡ 철학자들이 나라의 왕이 되거나 현재 왕이나 다스리
이성 통치 계급 는 자가 참된 지혜를 사랑하지 않는 한, 모든 나라나
(지혜의 덕) (철학자)
기개 군인 계급 인류에게 나쁜 것들이 완전히 사라지는 일은 없다.
(용기의 덕) (군인)
욕구 생산 계급
(절제의 덕) (농민, 상인)
4 다음 질문에 답해 보자.

2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 사상
경험보다 이성을 강조한 플라톤의 윤리 사상은 윤리란 근본적으로 육체적 쾌
• 주지주의+주의주의: 플라
락이나 현실적 욕구가 아니라 정신적 이상을 추구하는 것이라는 점을 설득력 있
톤 사상 계승 이성과
게 보여 줌으로써 우리가 무엇을 추구하며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에 대한 모범적
의지 강조
인 답을 제시하였다. 반면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 사상은 인생의 최고 목적이 행
• 목적론: 행복이 최고 목적
복이라는 점을 분명히 하면서도 중용과 실천적 지혜를 강조하며, 구체적인 현실
이자 선(행복한 삶=자아
에서 우리가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지에 대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실현)
•현실주의적 윤리 사상
1)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 사상은 어떤 공통점이 있을까?
유덕한 인간
(탁월한 이성 + 탁월한 품성)
2)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 사상의 차이점은 무엇일까?


지성적 덕 품성적 덕
교육으로 습득 습관으로 습득

2. 덕 있는 삶이란 무엇인가? 115







윤리와사상제출본.indb 115 2018-08-06 오전 11:37:00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