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19 고 윤리와 사상
P. 119
1
3-1 쾌락의 추구와 평정심 학습 요소
•헬레니즘과 세계 시민주의
•에피쿠로스학파의 특징
학 습 •에피쿠로스학파와 스토아학파가 등장하게 된 시대적 배경을 이해할 수 있다. •쾌락주의의 의미
목 표 •에피쿠로스학파의 윤리적 입장과 특징, 그리고 한계 등을 이해할 수 있다. •에피쿠로스학파의 영향
에피쿠로스학파와 스토아학파는 어떻게 등장하였는가?
알렉산드리아 제국의 성립 ‘인간은 폴리스적 동물’이라는 아
리스토텔레스의 말에서 보듯 고대 그리스에서 시민들은 폴리스
라는 공동체 안에서 각자의 고유한 역할을 통해 서로 유기적으로
05 협력하는 가운데 맺어진 끈끈한 결속을 바탕으로 비로소 온전한
인간이 될 수 있었다.
폴리스는 자아 정체성을 형성하는 출발점이자 인생의 궁극적
목적인 행복을 추구하는 사회적 바탕이었다. 그뿐만 아니라 다양
한 폴리스들은 그 나름대로 고유한 풍습과 규범을 지닌 독립된
10 정치 공동체였다. 그러나 이러한 폴리스가 무너지고 알렉산드리 ▲ 아리스토텔레스와 알렉산드로스 알렉산드로스의 스승인 아리
스토텔레스는 아테네 멸망 후 아테네 시민으로부터 미움을 받게
아라는 대제국이 등장하면서 이제 사람들은 친밀한 동료 시민이
되었다.
아니라 서로를 원자적 개인처럼 대하게 되었다.
세계 시민주의의 등장 알렉산드리아 제국에서 등장한 세계 시민주의는 공동체의
15 연대성을 상실한 개인주의의 출발점이다. 이 시기의 사회적 상황 역시 격동의 연속이
었다. 알렉산드로스의 정복 전쟁으로 제국의 영토는 확장되었지만 그의 사후 후계자들
사이에 끊임없는 전쟁으로 정치적 혼란이 반복되었다. 이러한 혼란의 시대를 배경으로
등장한 것이 바로 스토아학파와 에피쿠로스학파이다.
외견상으로 볼 때 에피쿠로스학파가 개인주의와 결부되었다면, 스토아학파는 세계
시민주의로 발전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 두 학파는 모두 공동체에 대한 공적인 관
20 심보다는 개인의 내면적 안녕에 주목하였다. 이 과정에서 양자 모두 폴리스라는 지역
적 고립을 넘어서게 되었다.
◀ 알렉산드로스의 정복 전쟁 <이수스
전투> 그림 속의 원으로 표시된 알렉산
드로스(B.C. 356~B.C. 323)는 마케도
니아의 왕으로 그리스, 페르시아, 이집
트 등을 정복하고 대제국을 건설하였다.
3. 쾌락의 추구를 통해 행복을 달성할 수 있는가? 117
윤리와사상제출본.indb 117 2018-08-06 오전 11:3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