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20 고 윤리와 사상
P. 120
에피쿠로스학파의 윤리 사상은 어떤 특징이 있는가?
에피쿠로스학파의 성립 에피쿠로스학파를 대표하는 에피쿠로스는 아테네의 교
쾌락은 즐거운
것을 보태는 것보다도 외에 정원 학교를 세우고, 이곳에서 제자들과 함께 학술 연구와 교육을 하였다. 이
고통스러운 것을 제거하는
때문에 에피쿠로스학파는 정원 학파로 일컬어지기도 한다.
✽
데 있다.
개인의 행복을 위해 에피쿠로스가 주목한 것은 개인의 내면적 영역이었다. 왜냐하 05
면 정치나 사회와 같은 우리 외부의 세계에 대해서는 우리가 마음대로 할 수가 없기
때문이다. 그는 세상사에 대한 관심을 멀리하면서 진정한 행복 추구의 방법에 대해
탐구하였다.
쾌락주의의 윤리 사상 그렇다면 우리의 내면은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가? 우
리는 욕망을 지니고 있으며, 이러한 욕망이 충족될 때 바로 쾌락을 얻는다. 인간은 10
▲ 에피쿠로스(Epicouros, B.C. 본성상 쾌락을 추구하며 쾌락을 통해 행복한 삶에 이를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점에
341~B.C. 270)
서 에피쿠로스학파는 쾌락주의를 옹호하고 있다. 하지만 에피쿠로스가 추구하고자
하는 쾌락은 방탕하거나 무분별하게 욕망을 충족하는 것과는 거리가 멀다.
*정원 학파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에피쿠로
우리가 ‘쾌락이 목적’이라고 말할 때, 이 말은 우리를 잘 모르거나 우리의 입장에 동의하
스가 학파의 창시자이다. 에피쿠
로스는 정원이 딸린 집에서 제자 지 않는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처럼 방탕한 자들의 쾌락이나 육체적 쾌락을 의미하는 것이 아 15
들과 공동체 생활을 하면서 제자 니다. 내가 말하는 쾌락은 몸의 고통이나 마음의 혼란으로부터의 자유이다.
들을 가르쳤다. 이 학파의 구성 - 에피쿠로스, 『쾌락』
원에는 외국인과 여자는 물론 노
예들도 있었다.
에피쿠로스에 따르면 우리의 욕망은 크게 세 가지 종류로 구분된다. 첫째는 인간
의 본성상 필수적인 욕망이며 반드시 충족해야 하는 욕망이다. 삶을 유지하는 데 필
요한 식욕이나 수면욕 등이 바로 그것이다. 두 번째는 인간의 본성에서 비롯한 것이 20
지만 필수적이라고 할 수는 없는 욕망이다. 성욕 등이 이에 해당한다. 세 번째는 인
간의 본성과 무관할 뿐만 아니라 반드시 충족해야 할 필요도 없는 욕망이다. 호화
생활과 사치하고 싶은 욕망 등이 이에 해당한다.
에피쿠로스가 추구하는 쾌락은 평온하고 소박한 삶과 결부된 것으로, 정신적이고
지속적인 쾌락이다. 그는 “육체는 항상 무한한 쾌락을 요구하지만, 지성은 그것에 25
뒤따르는 불편을 고려하여 욕망을 제한한다.”라고 하며, 참된 쾌락을 얻기 위해서
는 끊임없는 절제가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따라서 그가 권장하는 욕망의 충
*아타락시아(ataraxia) 족으로서 쾌락이란 바로 첫 번째 욕망과 관련된 것이다. 그는 “어떤 사람을 부유하
마음속에 혼란이나 고통이 없는
게 하려면 그에게 더 많은 재물을 주기보다는 그의 욕망을 줄이도록 하라.”라고 하
평정심을 말한다. 에피쿠로스학
파에서 신체의 고통이나 영혼의 였다. 이러한 까닭에 에피쿠로스학파의 쾌락주의는 오히려 금욕주의에 가깝다고 할 30
혼란은 불행의 원인이다. 이것으
수 있다.
로부터의 자유가 행복을 만들어
내고 행복은 인간의 최고의 목표 에피쿠로스는 육체와 정신의 고통을 없앨 때 쾌락을 얻을 수 있다고 말한다. 에피
이다.
쿠로스학파에서 강조하는 아타락시아란 인간의 내면적인 욕구 자체를 절제함으로
✽
써 육체적 고통이나 정신적 불안이 없는 평온한 마음 상태(평정심)를 가리킨다.
118 Ⅲ. 서양 윤리 사상
윤리와사상제출본.indb 118 2018-08-06 오전 11:3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