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14 고 윤리와 사상
P. 114
2-2 이론 및 실천의 탁월성과 행복 학습 요소
•아리스토텔레스 윤리 사상
•자아실현과 행복
학 습 •아리스토텔레스 윤리 사상의 특징을 이해할 수 있다. •이론 및 실천의 탁월성
목 표 •아리스토텔레스가 강조하는 이론 및 실천의 탁월성과 행복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아리스토텔레스 윤리 사상의 특징은 무엇인가?
마케도니아 왕실 의사의 아들이었던 아리스토텔레스는 어릴
적부터 유복한 환경에서 수준 높은 교육을 받았다. 외국인이라
는 신분 때문에 아테네의 정치에 아예 참여할 수 없었던 그는
아카데메이아에서 20여 년이란 긴 시간 동안 플라톤의 가르침 05
을 받았다. 그 후 플라톤이 죽자 리케이온이라는 독자적인 학
문 공동체를 세워 플라톤의 학문을 창조적으로 계승하여 자신
만의 독창적 사상으로 발전시켰다.
▲ 아리스토텔레스학파 사람들 아리스토텔레스가 세운 리케이온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 사상의 핵심은 ‘모든 것에는 목적이
에 속한 사람들은 함께 거닐며 학술 토론을 하였기 때문에 소요
학파라고도 한다. 있다.’라는 목적론이다. 목수의 목적은 좋은 집을 짓는 것이며, 10
말의 목적은 잘 달리는 것이다. 그 고유한 목적이나 기능을 훌
륭하게 수행하는 것이 바로 덕이다. 그래서 덕은 곧 탁월함이다. 덕을 탁월함으로
간주한다는 점에서 아리스토텔레스와 플라톤은 서로 다르지 않다.
우리가 하는 행동 역시 모두 나름의 고유한 목적이 있다. 밥을 먹는 것은 건강하
기 위한 것이고 건강을 유지하는 것은 좋은 삶을 살기 위한 것이다. 이처럼 어떤 행 15
동은 그보다 상위의 목적을 추구하고 있다. 그렇다면 ‘인간 행위의 최고 목적은 무
엇일까?’ 아리스토텔레스는 행복이 바로 최고의 목적이라고 말한다. 또한, 행복은
좋은 것 중에서도 최고로 좋은 것이라는 점에서 최고선이다. 인간의 최고선인 행복
하게 사는 것은 곧 인간의 자아실현이다. 이처럼 일상의 경험과 건강한 상식을 존중
하는 아리스토텔레스의 현실주의적 윤리 사상은 플라톤의 이상주의적 윤리 사상과 20
대조가 된다.
아리스토텔레스가 강조하는 이론 및 실천의 탁월성이란 무엇인가?
인간관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의 영혼은 이성적인 부분, 이성에 귀 기울이는 부분,
비이성적인 부분으로 나뉜다고 보고, 이성적인 부분의 탁월함을 지성적 덕, 이성에 귀
기울이는 부분의 탁월함을 품성적 덕이라고 하였다. 25
지성적 덕에는 실천적 지혜, 철학적 지혜, 지성 등이 있고, 품성적 덕에는 절제, 용
기, 정의 등이 있다. 지성적 덕 중에서 실천적 지혜는 품성적 덕을 갖추는 데 필수적인
것이다. 왜냐하면 품성적 덕은 중용인데, 중용을 알기 위해서는 실천적 지혜가 반드시
있어야만 하기 때문이다.
112 Ⅲ. 서양 윤리 사상
윤리와사상제출본.indb 112 2018-08-06 오전 11:36: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