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12 고 윤리와 사상
P. 112
가령 삼각형을 생각해 보자. 직각 삼각형, 예각 삼각형, 둔각 삼각형 등 다양한 모
양의 삼각형은 삼각형의 한 종류일 뿐 삼각형 그 자체라고 할 수는 없다. 또한, 아무
리 능숙한 솜씨를 가진 사람이라 할지라도 내각의 합이 정확히 180도가 되는 완벽
한 삼각형을 그릴 수는 없다.
플라톤은 이처럼 완벽한 지식을 갖지 못하는 이유를 이데아의 세계에 있던 인간 05
✽상기설 의 영혼이 망각의 강을 건너 이 세상으로 오면서 이데아의 세계에 대한 지식을 모두
플라톤의 주장으로, 망각 상태 잊어버리고 말았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따라서 이데아의 세계에 대한 보편적 진리
에서 벗어나 우리의 기억 속에서
를 깨닫도록 하는 것은 잃어버린 기억을 되찾도록 하는 것과 같다고 할 수 있다. 그
원래 알고 있었던 것을 찾아내
는 일을 말한다. 래서 플라톤의 지식 이론을 상기설이라고 한다.
✽
플라톤이 강조하는 영혼의 정의란 무엇인가? 10
인간관 플라톤은 이런 이데아론을 바탕으로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라는 윤리
의 근본 질문에 대해 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플라톤에 따르면 인간의 영혼은 이
성, 기개, 욕구라는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세 부분이 그 역할을 잘 수행
할 때 정의로운 인간이 된다.
이성의 부분에서는 지혜의 덕이, 기개의 부분에서는 용기의 덕이, 욕구의 부분에 15
서는 절제의 덕이 잘 발휘될 때 정의의 덕을 갖춘 인간이 되는 것이다. 지혜의 덕이
란 이데아 세계에 대한 앎을 통해 인생의 궁극적 목적을 세우는 덕이다. 용기의 덕
은 비겁함이나 만용에 빠지지 않고 이성을 따를 때 얻는 덕이다. 절제의 덕은 욕구
의 노예로 전락하지 않도록 하는 덕이다.
기개와 욕구가 이성의 다스림을 통해 영혼 전체가 조화를 이룰 때, 인간의 영혼은 20
비로소 정의의 덕을 갖게 된다. 나아가 정의의 덕에 따라 사는 사람만이 행복한 사
람이며, 정의의 덕을 갖지 못할 경우 불행한 사람이 되고 만다.
플라톤의 입장에서 볼 때 행복한 삶이란 결국 이성을 통해 얻게 된 이데아에 대한
보편적 진리에 따라 살아가는 삶이다. 이처럼 플라톤은 기개나 욕구에 비해 이성을
우위에 둔다는 점에서 그의 윤리학을 이성 중심주의 윤리학이라고 한다. 25
이해하기
자료
읽기 마차의 비유: 정의로운 인간이란 무엇인가?
마차를 끄는 두 마리의 말이 있다. 한 마리는 흰 말이고, 또 한 마리는 기개
검은 말이다. 흰 말은 말을 잘 듣는 좋은 말이지만, 검은 말은 성질이 용기의 덕
고약하여 채찍을 들어야만 겨우 말을 듣는 말이다. 마차가 힘차게 잘 이성
달리기 위해서는 마부가 가야 할 방향을 잘 정해 두 마리 말 모두를 지혜의 덕
잘 다루어야 한다. 인간의 영혼 역시 이처럼 이성(마부)이 기개
(흰 말)와 욕구(검은 말)를 잘 다스릴 때 이상적 상황이 된다. 욕구
- 플라톤, 『파이드로스』 절제의 덕
110 Ⅲ. 서양 윤리 사상
윤리와사상제출본.indb 110 2018-08-06 오전 11:36: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