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9 중학교 기술가정 ① 교과서
P. 19










4 긍정적 자아 정체감의 형성
↳ 자아 존중감
↳ 긍정적 자아 정체감
길잡이 나는 어떤 사람이고, 앞으로 어떤 사람이 되고 싶은가?

국어·도덕
청소년기에는 ‘나는 누구인가?’, ‘나는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등을 고민하며 자신
자존심과 자아 존중감
에 대하여 느끼고 아는 과정에서 자아 정체감이 형성된다. 자존심과 자아 존중감은 둘 다 자신
을 소중히 여기는 마음이다. 자존심
자아 정체감이란 자신이 다른 사람과 구별되는 독립적이고 고유한 존재라는 것을
은 다른 사람과 비교하여 자신이 더
인식하는 것이다. 자아 정체감이 어떻게 확립되는가에 따라 이후의 삶에 영향을 미 훌륭하다고 느끼는 마음인 반면, 자
아 존중감은 자기 자신을 존중하고
치게 되므로 청소년기에 긍정적 자아 정체감을 형성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사랑하는 마음이다.
긍정적 자아 정체감을 형성하는 데 가장 필요한 것은 자아 존중감이다. 자아 존중
감은 스스로 자신을 소중히 여기는 마음으로, 자아 존중감이 높을 때 긍정적 자아

정체감도 형성될 수 있다.
자아 존중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자신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자신의 존재
가 가치 있고 소중하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또한 다른 사람과 구별되는 자신만의

특성을 드러낼 수 있는 분야를 파악하여 능력을 발휘해 나가고 다른 사람으로부터
인정받을 때 자아 존중감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나의 자아 존중감을 체크해 보자.
내용 항상 그렇다 대체로 그렇다 보통이다 대체로 그렇지 않다
① 나는 내가 다른 사람보다 가치 있는 사람이라고 느낀다.

② 나는 내가 좋은 성품을 가졌다고 생각한다.
③ 나는 대체로 실패한 사람이라는 느낌이 든다.
④ 나는 대부분의 다른 사람들과 같이 일을 잘할 수 있다.
⑤ 나는 남들에게 자랑할 것이 별로 없다.

⑥ 나는 나 자신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지니고 있다.
⑦ 나는 나 자신에 대해 대체로 만족한다.

⑧ 나는 나 자신을 좀 더 존경할 수 있으면 좋겠다.
⑨ 때때로 나 자신이 쓸모없는 존재로 느껴진다.
⑩ 때때로 나는 내가 전혀 능력이 없다고 생각한다.
총점

안내 계산하는 법 총점
①, ②, ④, ⑥, ⑦번 문항
30점 이상: 자신을 아끼고 사랑함.
항상 그렇다(4점), 대체로 그렇다(3점), 보통이다(2점), 대체로 그렇지 않다(1점)
20~29점: 자아 존중감이 보통 수준임.
③, ⑤, ⑧, ⑨, ⑩번 문항
19점 이하: 자아 존중감이 낮은 상태임.
항상 그렇다(1점), 대체로 그렇다(2점), 보통이다(3점), 대체로 그렇지 않다(4점)
그림 1-6 자아 존중감 체크 리스트 ※출처: 로젠버그(Rosenberg), 자아 존중감 척도
01. 청소년기의 발달 특징
17





중등기술가정1권-3차제출본.indb 17 2017-07-28 오전 11:54:40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