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0 중학교 기술가정 ① 교과서
P. 20
한편 긍정적 자아 정체감은 주변 사람들과의 관계 속에서 이루어지므로 다른 사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가진 나를 인 람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자신을 소중히 여기는 마음과 함께 다른 사
정하고 긍정적 자아 정체감을 갖기
람도 자신과 같이 소중한 사람이라는 것을 이해하고, 나아가 다른 사람을 존중하고
위해 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인지 생각
해 보자. 배려하는 태도를 길러야 한다.
이처럼 자신과 다른 사람을 존중하고 배려하는 태도를 길러 긍정적 자아 정체감
을 형성하면, 좋은 인간관계를 맺게 될 뿐만 아니라 행복하고 성공적인 미래의 삶을
설계해 나가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가족이나 선생님, 친구
들과 대화를 나누자. 자아 존중감이 높은 사람,
‘닉 부이치치’
자신의 모습을 있는 어려운 문제를 피하지
그대로 받아들이자. 말고 해결하기 위해 닉 부이치치는 1982년 팔과 다리가 없는 선
노력하자. 천적 장애인으로 오스트레일리아에서 태어
났다. 한때 아무것도 할 수 없는 자신을 비
관하기도 했으나, 어려움을 극복하고 학교
를 다니며 학생회장을 하기도 했다. 19세 때
첫 연설을 시작한 이후 30개 이상의 나라
자신의 단점을 인정하
실수나 실패를 했을 들을 다니면서 강연을 했고, 여러 권의 책을
고, 좋은 방향으로 개선
때 좌절하지 말자. 썼다. 그는 낚시, 골프, 수영 등 여러 운동을
하기 위해 노력하자.
하고 있으며, 왼쪽 발에 있는 2개의 발가락
으로 컴퓨터도 사용하고 있다. 2012년에 결
혼하여 2명의 자녀를 두었다.
자신의 가능성에 대해
긍정적
시험해 보는 기회를
좋은 책을 많이 읽자.
갖자. 자아 정체감
그림 1-7 긍정적 자아 정체감의 형성
자신에 대해 칭찬하거나 격려해 주고 싶은 일을 생각해 보고, 자기 자신을 칭찬하는 편지를 써 보자. 실천하기
칭찬하거나 격려해 주고 싶은 일 칭찬 편지 쓰기
1. 청소년의 이해
18
중등기술가정1권-3차제출본.indb 18 2017-07-28 오전 11:54: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