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75 중학교 기술가정 ① 교과서
P. 75










1 청소년의 스트레스, 분노, 우울, 자살
↳ 신체적·정서적 건강
↳ 스트레스
길잡이 청소년의 건강을 위협하는 문제는 무엇일까?
↳ 분노 조절 장애
↳ 우울증
건강은 몸과 마음의 상호 작용으로 일어나는 것이므로 비록 몸이 건강하다고 해 ↳ 자살

도 마음이 건강하지 않으면 서로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특히 한창 성장하는 시
Link&Think
기의 청소년들은 현재의 양호한 건강 상태가 계속될 것이라고 믿기 때문에 건강에
한국청소년건강재단
소홀하기가 쉽다. http://www.gunzzang.org
건강이 나빠지는 것은 기본적으로 자신의 잘못된 행동이나 생활 습관과 관련이 있다.

또한 청소년기에 겪는 극심한 스트레스, 분노 조절 장애, 우울, 자살 등은 청소년
의 건강을 크게 위협하고 있다. 청소년들은 급격한 신체적·심리적 변화로 인해 정서

불안을 겪으면서 흡연이나 음주, 약물 남용 등의 유혹을 받을 수 있다. 흡연, 음주,
약물 남용 등은 건강을 위협하는 주요 원인으로, 이로 인해 발생한 청소년기의 건
강 문제는 성인기까지 이어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청소년들은 자신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고 자신의 건강을 지킬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신체적 건강이 생활에 미치는 영향 정서적 건강이 생활에 미치는 영향


•매사에 활력 있게 생활한다. •감정을 조절하여 안정된 마음 자세를 갖춘다.
•섭취한 음식물을 잘 소화한다. • 주변이나 자신이 처한 상황을 바르게 생각하고 판단한다.
•눈이 잘 보이고 귀가 잘 들린다. • 하고자 하는 욕구를 발산하여 생활에 긍정적인 에너지로
•뼈가 튼튼하여 신체를 지지하고 보호한다. 작용한다.
•심장과 혈관의 기능이 발달하여 습관병을 예방한다. • 자신에게 일어난 일을 정확히 기억하고 암기력, 응용력 등을
• 체력이 강하여 장시간 학업, 운동, 일 등을 원활하게 향상시킨다.
수행한다.

그림 3-1 신체적·정서적 건강이 생활에 미치는 영향



한걸음
건강의 정의

세계보건기구(WHO)에서 ‘건강이란 질병이 없거나 허약하지 않은 것만 말하는 것이 아니라 신체적, 정신적,
신체적 건강
사회적으로 완전히 안녕한 상태에 놓여 있는 것’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이는 건강이 단순히 신체에 질병이 없
는 상태만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정신적, 사회적으로도 건강한 상태에 있어야 함을 의미한다.
여기에서 신체적 건강, 정신적 건강, 사회적 건강은 서로 상호 작용을 하는 관계이므로, 우리는 세 가지 모
두 건강해야 건강한 삶을 살아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정신적 건강 사회적 건강
※출처: 노영희·홍현진, 『건강보건관련 국제기구 지식정보원』
그림 3-2 세계보건기구에서 정의한 건강


3. 청소년의 생활과 안전 01. 청소년기의 건강한 생활
72 73





중등기술가정1권-3차제출본.indb 73 2017-07-28 오전 11:55:51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