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77 중학교 기술가정 ① 교과서
P. 77









분노는 자신이 원하는 대로 되지 않을 때 생기는 불쾌하거나 언짢은 기분으로 사 분노 조절 장애
분노의 감정을 스스로 조절하지 못해
람의 가장 기본적인 정서 중 하나이다. 하지만 상대방에게 거친 말과 폭력을 행사하
분노가 습관적으로 일어나는 상태.
고 주변 물건을 집어 던지는 등 분노의 감정을 스스로 조절하지 못한다면 이는 분
⇢ 정서적 건강과 관련된 증상 및 치료
노 조절 장애 증상으로 이어져 자신의 건강을 해치고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입힐

수 있다. 또한 만성적이고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분노는 고혈압이나 심장 마비의 원 •스트레스 •분노 •우울증
인이 될 수 있으며, 수명을 단축시키는 등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기도 한다.

분노는 연습과 노력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으므로 분노가 일어나는 원인을 파악 •직접적 사망의 원인
• 뇌혈관 질환, 심장병 발병의
하여 그 원인을 제거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또한 감정을 다스리거나 분노가 일어
원인
나는 순간을 피하는 등 분노를 적절한 방법으로 조절하려는 노력도 필요하다.


•심리적인 치료
•약물 치료
•규칙적인 운동을 통한 치료









1단계 2단계 3단계
화나는 신호 알아차리기 잠깐! 30초만 참으면서 감정 다스리기 화가 난 이유 생각하기




용서의 힘
•마음이 편안해진다.
•몸이 건강해진다.
•행복한 마음을 더 많이 느끼게 된다.
•짜증과 화가 줄어든다.
4단계 5단계 •내가 하는 일에 더 집중할 수 있는
공격적이지 않은 행동으로 표현하기 용서하기 힘이 생긴다.
•더 넓은 마음으로 사람들을
그림 3-5 분노를 적절하게 표현하는 방법
볼 수 있게 된다.
우울은 근심스럽거나 활기가 없으며, 슬프거나 절망적인 기분이 드는 것이다. 가벼

운 우울은 청소년기에 흔히 나타날 수 있고, 회복도 쉽다. 하지만 우울증으로 발전
하면 대인 관계의 위축, 권태감, 무력감, 수면 및 식사 문제 등을 가져온다. 또한 심

각한 우울증은 쉽게 치료되지 않고 자살 행동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따라서 우울증이 생길 경우에는 적극적인 약물 치료와 더불어 전문가에게 상담을
받는 등 주변에 도움을 요청해야 한다. 나아가 규칙적인 생활과 긍정적인 마음, 스

트레스에 대한 적절한 대처 등 자신의 마음을 변화시키기 위해 끊임없는 노력을 해
야 한다.

3. 청소년의 생활과 안전 01. 청소년기의 건강한 생활
74 75





중등기술가정1권-3차제출본.indb 75 2017-07-28 오전 11:55:52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