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78 중학교 기술가정 ① 교과서
P. 78
Link&Think 청소년들의 자살은 통계청에 따르면 2001년 이후 2009년까지 약 2배가량 증가하
한국자살예방협회 사이버상담실 였고, 2009년 이후 자살이 청소년 사망 원인 1위를 차지하고 있다. 그 후 청소년들
http://www.counselling.or.kr
의 자살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로, 자살 시도는 15~24세에 가장 많다.
성인들이 ‘절망’ 때문에 자살하는 것과는 달리 청소년들은 ‘도움을 얻기 위한 외침’
> 외부의 자극과 적응하기 어려운 으로 자살을 시도한다. 즉 청소년들은 절망에 빠졌을 때 가족이나 친구로부터 정서
환경에서 느끼는 신체적·심리적 긴
적 지원을 받기를 원하지만 그렇지 못할 때 자살을 시도한다.
장 상태를 라고 한다.
자살을 시도하는 대부분의 경우 행동으로 옮기기 전에 여러 가지 위험 신호를 보
이성 문제 4.7 낸다. 이때 적절한 조치를 취한다면 귀중한 생명을 구할 수 있다.
외모 콤플렉스 4.3
게임 중독 1.4
기타 11.0 즉시 도움이 필요한 위험 신호
성적· ① 가족이나 친구들로부터 멀어지고 혼자 고립되어 간다.
부모의 ② “죽고 싶어.”, “죽었으면 좋겠어.”와 같은 말을 많이 한다.
성적 압박
③ 아끼던 물건을 남들에게 나누어 준다.
26.0
친구 간 ④ 학업 성적이 급격하게 떨어진다.
갈등·왕따 ⑤ 몸에 이상이 없는데도 신체적 이상을 호소한다.
우울감
13.8
19.4 ⑥ 무력감, 좌절감, 불안감, 우울증에 시달린다.
⑦ 평상시보다 훨씬 적게 혹은 훨씬 많이 먹거나 많이 잔다.
⑧ 지나치게 외모에 무관심하다. ※출처: 한림대 자살과학생정신건강연구소, 2015.
가정 내 갈등·가정 폭력
19.4 (단위: %)
※ 출처: 한림대 자살과학생정신건강 청소년기에는 여러 가지 감정적 위협에 노출되지만 규칙적인 식생활과 운동, 취미
연구소, 2015.
생활 등을 통해 스트레스를 적절하게 해소하면 위험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자아
그림 3-6 자살 학생의 평소 고민 내용
존중감이 높으면 스트레스에 잘 대처하고 문제 해결을 위한 긍정적인 대처 방안을
사용하므로, 자아 존중감을 높일 수 있도록 스스로 노력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주변 사람들의 지원과 격려가 필요하다.
다음 ‘행복 헌장 10계명’을 참고하여 생활 문제를 예방할 수 있는 나만의 행복 헌장을 만들어 보자. 실천하기
1. 운동을 하라. 일주일에 3회, 30분씩이면 충분하다.
2. 좋았던 일을 떠올려 보라. 하루를 마무리할 때마다 당신이 감사해야 할 일 다섯 가지를 생각하라.
3. 대화를 나누라. 매주 온전히 한 시간은 배우자나 가장 친한 친구들과 대화를 나누라.
4. 식물을 가꾸라. 아주 작은 화분도 좋다. 죽이지만 말라.
5. 텔레비전 시청 시간을 반으로 줄이라.
6. 미소를 지으라. 적어도 하루에 한 번은 낯선 사람에게 미소를 짓거나 인사를 하라.
7. 친구에게 전화하라. 오랫동안 소원했던 친구나 지인들에게 연락해서 만날 약속을 하라.
8. 하루에 한 번 유쾌하게 웃으라.
9. 매일 자신에게 작은 선물을 하라. 그리고 그 선물을 즐기는 시간을 가지라.
10. 매일 누군가에게 친절을 베풀라. ※ 출처: 로버트 D. 아이셋, 『내 인생이 행복해지는 긍정의 심리학』
3. 청소년의 생활과 안전 01. 청소년기의 건강한 생활
76 77
중등기술가정1권-3차제출본.indb 76 2017-07-28 오전 11:55: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