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0 고등학교 실용 수학 교과서 브로슈어
P. 50
소실점을
왜상
보충 설명 소실점을 2개로 하여 건물 모양을 그리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2개로 하여 건물 모양을 그리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왜상
소실점이 실점이 22개개
소
(1) [그림 6]과 같이 수평선과 수직선을 그린다.과 같이 수평선과 수직선을 그린다.
물체의 한 면 대신 모서리를 중심으의 한 면 대신 모서리를 중심으
물체 (1) [그림 6]
로 (2) [그림 7]과 같이 수평선 위에 두 소실점을 잡은 후 수직선의 끝점과 소실점과 같이 수평선 위에 두 소실점을 잡은 후 수직선의 끝점과 소실점
로 볼 때 생기는 투시로 기하학적인 볼 때 생기는 투시로 기하학적인
(2) [그림 7]
광고판 속의 숨은 비밀
입체가 시선에 일정한 각도로 틀어가 시선에 일정한 각도로 틀어
입체 생활 광고판 속의 숨은 비밀
생활 속 수학이야기속 수학이야기
져 있거나, 모서리가 화면에 돌출된 있거나, 모서리가 화면에 돌출된
져 을 잇는 선분을 긋는다.
을 잇는 선분을 긋는다.
듯
듯이 보인다.이 보인다. 텔레비전으로
텔레비전으로 축구 경기를 시청하다 보면 그림과 같이 골대 양쪽에 버팀목으로 세워놓은 것 축구 경기를 시청하다 보면 그림과 같이 골대 양쪽에 버팀목으로 세워놓은 것
(3) [그림 8]과 같이 건물 모양을 완성한다.과 같이 건물 모양을 완성한다.
(3) [그림 8]
같은
같은 광고판을 보게 된다. 그런데 다른 위치의 카메라에 비친 화면에서는 세워 놓은 것으로 광고판을 보게 된다. 그런데 다른 위치의 카메라에 비친 화면에서는 세워 놓은 것으로
보이던
보이던 광고판 위로 선수들이 왔다 갔다 하는 장면을 목격하게 된다. 이런 현상은 어떻게 생광고판 위로 선수들이 왔다 갔다 하는 장면을 목격하게 된다. 이런 현상은 어떻게 생
소실점 소실점
기는 것인가?
기는 것인가?
소실점
소실점
소실점 소실점 소실점 소실점
소실점
소실점
왜상 즉, 사람의 시선이 닿
는 각도에 의해 달라져 보
[그림8]8]
[그림
[그림
[그림
[그림7]7]
[그림6]6]
[
[그림 6]그림 6] [ [그림 7]그림 7] [ [그림 8]그림 8] 이는 현상을 이용하여 광고
에 이용한 것이다.
1 1 오른쪽 그림은 건물을 그린 그림이다. 이 그림의 소실점을 찾아라.
오른쪽 그림은 건물을 그린 그림이다. 이 그림의 소실점을 찾아라.
탐구
탐구
탐구
보충 설명 하기
하기
하기
생활 속 수학이야기
소 생활 속 수학이야기 의 축구 경기장 바닥 면에 그려 놓은 그림은 중계용 카메라의 의 축구 경기장 바닥 면에 그려 놓은 그림은 중계용 카메라의
소실점이 실점이 33개개
건물의
풀이
풀이 건물의 위와 아래를 이루는 모서리의 연장선을 그으면 아위와 아래를 이루는 모서리의 연장선을 그으면 아
높
높은 빌딩을 바로 아래에서 올려다은 빌딩을 바로 아래에서 올려다
위치에
보면 좌, 우, 아래 면 좌, 우, 아래 33개의 소실점이 개의 소실점이 래 그림과 같이 양 끝에 교점이 각각 생긴다. 이 교점이 그그림과 같이 양 끝에 교점이 각각 생긴다. 이 교점이 그 위치에 따라 마치 광고판이 세워져 있는 것처럼 보이도록 그려진 것이다. 이와 같따라 마치 광고판이 세워져 있는 것처럼 보이도록 그려진 것이다. 이와 같
래
보
생기고
생기고 위에서 내려다보면 좌, 우, 위에서 내려다보면 좌, 우, 이 그림을 그릴 때 왜곡되게 그려서, 특별한 각도에서 보면 왜곡이 사라져 그림 속그림을 그릴 때 왜곡되게 그려서, 특별한 각도에서 보면 왜곡이 사라져 그림 속
이
림의 소실점이다.
위 림의 소실점이다.
위 33개의 소실점이 생긴다.개의 소실점이 생긴다.
의 모습이 정상적으로 보이도록 그린 것을 왜상
의 모습이 정상적으로 보이도록 그린 것을 왜상이라고 한다.이라고 한다.
이제 이런 현상이 어떻게 생기는 것인지에 대하여 알아보자.
이제 이런 현상이 어떻게 생기는 것인지에 대하여 알아보자.
소실점
소실점
소실점 [ [1] 아래 그림과 같이 바닥 면에 직사각형을 그린 후 화면을 통해 오른쪽 위의 눈의 1] 아래 그림과 같이 바닥 면에 직사각형을 그린 후 화면을 통해 오른쪽 위의 눈의
소실점
왜상(歪像, anamorphosis)(歪像, anamorphosis)
왜상
위치에서 바라보면 어떤 모양으로 보이는지 화면에 그려 보자.
을 이용한 대표적인 미술 작품이용한 대표적인 미술 작품 위치에서 바라보면 어떤 모양으로 보이는지 화면에 그려 보자.
을
인물 탐구
으로는 한스 홀바인의 〈대사한스 홀바인의 〈대사
으로는
① [그림 9]
들〉,
들〉, 뒤러의 〈누드를 그리는 예뒤러의 〈누드를 그리는 예 ① [그림 9]와 같이 바닥 면에 직사각형 ABCD를 그린다.와 같이 바닥 면에 직사각형 ABCD를 그린다.
술가〉 등이 있다.
술가〉 등이 있다.
5 5 오른쪽 그림에서 소실점 ② [그림 10]과 같이 두 점 C, D와 관찰자의 눈을 연결한 선분이 화면과 만나는 곳과 같이 두 점 C, D와 관찰자의 눈을 연결한 선분이 화면과 만나는 곳
② [그림 10]
오른쪽 그림에서 소실점 2개를 각각 찾아 표시하여라.2개를 각각 찾아 표시하여라.
탐구 바닥면에 있는 정사각형을 바라볼
탐구
탐구
문제
문제
을 각각 점
문제 때 시야에서 멀어질수록 가로의 길 을 각각 점 C', D'이라 하자.C', D'이라 하자.
풀이 정면을 바라볼 때 물체들을 구성하는 선들과 수평선이 만나정면을 바라볼 때 물체들을 구성하는 선들과 수평선이 만나
풀이
는 점을 찾으면 아래 그림과 같이 소실점은 점을 찾으면 아래 그림과 같이 소실점은 22개이다.개이다. 이가 좁은 사다리꼴로 보인다. 이런
는
③ 화면 위의 표시한 점 C', D'과 점 A, B를 이어 사다리꼴을 그린다. 따라서 바 화면 위의 표시한 점 C', D'과 점 A, B를 이어 사다리꼴을 그린다. 따라서 바
현상을 반대로 이용하면, 즉 시야에 ③
요하네스 베르메르하네스 베르메르
요
서 멀어질수록 실제보다 크게, 시야
닥 면의 직사각형은 화면상에서는 [그림 10]
( (JohannesJohannes VermeerVermeer, , 닥 면의 직사각형은 화면상에서는 [그림 10]과 같이 사다리꼴 ABC'D'으로 보과 같이 사다리꼴 ABC'D'으로 보
163232~~16751675)) 에서 가까워질수록 실제보다 작게
16
그리면 이 그림을 보는 사람은 정상
이게 된다.
17세기 네덜란드를 대표하세기 네덜란드를 대표하
17 이게 된다.
는
는 화가 중의 한 명으로 화가 중의 한 명으로 적인 그림인 정사각형으로 보인다.
색조
색조가 아주 뛰어나며, 맑가 아주 뛰어나며, 맑 (바닥) (화면) 시점 시점
시점
시점
고 6 6 오른쪽 그림은 베르메르의 「음악수업」으로 사실적이고 정그림은 베르메르의 「음악수업」으로 사실적이고 정
오른쪽
고 부드러운 빛의 조화로 부드러운 빛의 조화로
탐구
탐구
정밀감이 넘치는 그림을 감이 넘치는 그림을
정밀 탐구 C' C'
문제
문제
문제
교한 묘사와 빈틈없이 치밀한 화면 구성을 통해 당시 귀족묘사와 빈틈없이 치밀한 화면 구성을 통해 당시 귀족
그렸다 교한 정사각형 사다리꼴
그렸다. 작품들의 대부분이 . 작품들의 대부분이
D'
평 C C C C D'
평범한 네덜란드 가옥의 범한 네덜란드 가옥의
들의
실내에서 이루어졌다. 알려내에서 이루어졌다. 알려
실 들의 실내 생활을 담은 작품들 중 하나이다. 인터넷을 검색 실내 생활을 담은 작품들 중 하나이다. 인터넷을 검색 B B B B
진
진 작품으로 북구의 모나 작품으로 북구의 모나 하여 이 그림의 소실점을 구하여라. 또, 소실점을 이용한 이 그림의 소실점을 구하여라. 또, 소실점을 이용한
하여
리자라 불리는 ‘진주귀걸이라 불리는 ‘진주귀걸이
리자 D D A A D D A A
의 소녀’로 밝고 부드러운 소녀’로 밝고 부드러운
의 그림을
그림을 검색하고, 검색한 그림들을 인쇄하여 소실점을 찾검색하고, 검색한 그림들을 인쇄하여 소실점을 찾
빛으로 신비로운 소녀를 으로 신비로운 소녀를
빛 역사다리꼴 정사각형 [그림 9]그림 9] [그림 10]그림 10]
[
[
아보아라.
화폭에 담아내었다.폭에 담아내었다.
화 아보아라.
풀이 바닥 면의 선들의 연장선을 그렸을 바닥 면의 선들의 연장선을 그렸을
풀이
때, 오른쪽 그림과 같이 만나는 점이 , 오른쪽 그림과 같이 만나는 점이 22개이개이
58 Ⅱ 때 1. 도형의 관찰 59
59
58
1. 도형의 관찰
Ⅱ. 공간. 공간
고,
고, 이 점이 소실점이다. 이 점이 소실점이다.
48 49
048081_2단원-공간 디자인-교사용_정리본.indd 58 2017-09-07 오후 8:11:22 048081_2단원-공간 디자인-교사용_정리본.indd 59 2017-09-07 오후 8:11:22
고_실용수학_브로슈어_1교.indd 48 2017-09-07 오후 9:2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