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05 중학교 기술가정① 지도서
P. 105










의복의 형태 베트남의 아오자이(Ao dai) | 아오(Ao)는 옷, 자이(dai)는 길다
의복의 형태는 기준에 따라 여러 가지로 분류되지만, 신체를 는 뜻으로 말 그대로 ‘긴 옷’이다. 긴 상의에 품이 넉넉한 바지를
감싸는 방법에 따라 나누어 보면 다음과 같다. 입는 것이다. 서양의 옷처럼 직접적으로 신체를 드러내지 않지만
요의형 | 허리둘레에만 의복을 착의한 것이다. 열대 지역에 많이 하늘한 샤틴(satin) 천이 몸에 붙어 여성의 곡선이 강조되는 실
분포되어 있으며, 아프리카, 남미 기아나, 에콰도르, 멕시코 동 루엣 때문에 몸매가 더욱 두드러지게 된다.
부의 유카타 반도 등에 해당된다. ※ 출처 : <국제학생잡지>, 2013.9.24.
요권의형 | 천을 허리에 둘러 어깨에 걸치거나 팔에 늘어뜨리는
방식이다. 열대부터 아열대, 온대 지방에 많이 분포하고 있다.
관두의형 | 머리를 통해 뒤집어 입는 옷의 총칭이다. 옷의 구멍
을 통과한 머리와 어깨가 천을 지탱한다. 쉽게 입고 벗을 수 있
어 햇빛 가리개 혹은 먼지막이 역할을 한다. 다양한 코디네이션을 통한 의복비 절약하기
전개형 | 원칙적으로 앞이 나누어져 있어 대(帶)를 이용하여 앞 의복 마련 계획을 세울 때, 새로운 옷을 구매하기 어려운 경
을 여미는 원피스 스타일의 총칭이다. 우리나라의 한복, 중국 우 가지고 있는 옷을 활용하여 다양한 코디네이션을 하면 기존
의 심의, 일본의 기모노 등이 있다. 의 옷으로도 멋진 느낌을 줄 수 있다.

레이어드 코디네이션 | 여러 개 아이템을 겹쳐 입는 방법이다.
세계의 전통 의상 비슷한 소재의 옷을 이용하거나 색채를 통일하면, 한결 세련된
전통 의복은 그 나라의 문화적 유산, 사람의 생활 특징이나 느낌을 준다.
기후의 성질 등의 일부를 반영한다. 기후는 전통 의복을 만드는 플러스 원 코디네이션 | 기본 옷차림에 하나의 아이템으로 강
재료를 정하고 의복의 색깔이나 무늬 등을 규정하는 데 중요한 조점을 주어 멋을 주는 방법이다. 스카프, 머플러, 넥타이 등을
요소가 된다. 사용할 수 있다. 기본 옷차림의 깔끔한 느낌과 강조점이 시각적
인도의 사리(Sari) | 사리는 산스크리트어로 ‘긴 천’이라는 뜻으 으로 돋보이는 효과까지 나타난다.
로 인도 여성들의 전통 의상을 말한다. 인도 여성들의 전통 의 크로스오버 코디네이션 | 느낌이 전혀 다른 소재나 디자인의 상
상은 대체로 레헹가(Lehenga, 치마), 촐리(Choli, 소매가 짧고 의와 하의를 매치하여 새로운 느낌을 준다. 전혀 어울릴 것 같
목 부분이 파인 상의), 그리고 어깨에 두르는 긴 직사각형 천인 지 않은 아이템들이 매력적으로 보인다.
사리로 이루어진다. 자잘한 인도풍 무늬가 들어가 있거나 수가 믹스 앤 매치 코디네이션 | 크로스오버 코디네이션과는 다르게

놓여져 있는 것, 장식용 구슬이나 모조 보석 등이 박힌 것 등으 색상이나 소재가 무난하거나 통일된 이미지를 주는 방법이다.
로 디자인이 다양하다. 안정되고 무난한 느낌을 준다.
한국의 한복 | 한복은 직선과 약간의 곡선이 조화를 이루어 아
름답다. 특히 여자 옷은 짧은 저고리와 넉넉한 치마가 어울려 옷
차림이 단정하고 아름답다. 전통 한복은 예복과 평상복이 나뉘
어 있으며, 남녀별로 성인과 어린이용, 그리고 계절별로 나뉜다.
일본의 기모노(着物) | 남녀노소 구분 없이 누구나 입을 수 있 미래의 의복 구입
는 일본의 전통 의상이다. 기본적으로 보면 기모노는 탄이라는 평소 친구들 사이에서 옷 잘 입는 친구로 불리는 중학생 진
T형의 큰 면이고 넓은 코드로 몸을 커버한다. 그다음에 오비(お 우는 다음 주 체험 학습 때 입을 옷을 고르느라 고민이다. 다
び)라는 폭이 넓은 끈으로 허리를 묶는다. 기모노는 비단과 샤 양한 디자인의 옷을 입어 보고 싶지만, 주말에도 가족 모임이
틴(satin)으로 만들어지며 기모노를 만드는 데 가장 세심한 것 있어 옷을 고르러 갈 시간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결국 온라인
은 수공 방식으로 무늬를 염색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무늬는 버 쇼핑몰에서 옷을 주문하기는 했지만, 주문한 옷이 나에게 어울
찌의 나라인 일본의 특색을 반영한다. 릴지, 체형에 맞을지가 걱정이다.
스웨덴의 펄크드라크(Folkdrakt) | 펄크드라크는 외래의 의복을 21세기 지식 기반의 사회에 접어들면서 패션과 테크놀로지의
예방하기 위한 운동에서 자기 나라의 개별적인 의상이 있어야 융합을 통해 누구나, 언제, 어디서든지 내가 원하는 옷을 직접
한다는 수요에서 생겨났다고 한다. 마르타 팔름(Marta Palme) 디자인할 수 있는 ‘패션의 유비쿼터스’ 시대가 열렸다. 3차원
이라는 한 귀족 여성이 긴 치마와 앞 치마, 하얀 모자 등의 농 인체 측정 시스템과 가상 현실 시스템의 발달로 인해 소비자들
가 의상에서 영감을 받아 스웨덴의 국가 의복을 만들었다고 한 은 온라인에 기반한 컴퓨터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사이버상

다. 온대 기후 나라의 특징으로 깊은 산속과 쌀쌀한 하얀 눈의 에서 여러 종류의 옷을 입어 보고, 원하는 옷을 선택한 후 구
색과 대조적인 것이 특색이라고 한다. 매할 수 있게 되었다.

2. 창의적인 가정생활 03. 의복의 마련 계획과 선택
102 103





중등기술가정지도서-3차제출.indb 103 2017-07-28 오후 12:59:44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