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28 중학교 기술가정① 지도서
P. 128





. 주거 환경과 안전

4차시



주생활과 관련된 안전사고는 부주의하여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에 대한 주 주생활과 관련된 안전사고 대처 방안
실천적 문제 생활 자립 자기 관리
> 지진이 일어나면 문을 닫고 집 안 의가 필요하다. 주거 내 안전사고는 발생 원인에 따라 미끄러짐이나 추락, 부딪침, 찔 해결 능력 능력 역량
에서 가만히 있는다. [○ / ×]
리고 베임, 화상, 중독, 화재 등 종류가 다양하다. 이러한 사고를 당하면 골절, 삠,
타박상, 출혈 등이 일어나는데, 이에 따라 적절하게 대처해야 한다.
사례 보기 다음 상황에 해당하는 주생활과 관련된 안전사고의 종류를 말해 보자.
가정에서 일어날 수 있는 안전사고는 미리 관심을 갖고 예방하면 안전사고가 일어
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 큰 피해도 막을 수 있다. ① 여러 개의 코드를 꽂아 둔 전기 콘센트 ② 내가 목욕을 하고 뒷정리를 하지 않아 ③ 동생이 거실에서 뛰다가 탁자 모서리에
에서 갑자기 불길이 일기 시작하였다. 할머니께서 욕실에서 미끄러져 넘어지셨다. 부딪혀 이마가 찢어졌다.
침실, 거실 욕실
• 선반이나 탁자 위에 움직이거나 • 욕실 바닥은 물기가 없도록 청소 사례 분석하기 ①~③의 상황에서 무엇이 잘못되었는지 사고의 원인을 분석해 보자.
떨어질 수 있는 물건은 올려놓지 하여 미끄러짐 사고를 방지한다.
않는다. • 욕실의 깔판, 매트는 미끄럼 방지
①의 원인
• 콘센트에는 반드시 안전 덮개를 처리가 되어 있는 제품을 사용한다.
덮어 둔다(문어발식 사용 금지). • 세제, 화학 약품 등은 어린아이의 ②의 원인
• 가구를 구입할 때에는 되도록 모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한다.
③의 원인
서리가 둥글게 처리된 것을 구입 • 욕조가 설치된 벽면에는 손잡이를
한다. 부착해 둔다.
• 침대는 벽 쪽에 붙여서 설치하고
침대 옆 방바닥에는 푹신한 매트 탐구하기 ①~③의 상황이 발생했을 때의 대처 행동과 예방 방법을 찾아보자.
를 깔아 혹시라도 떨어졌을 때 충
격을 완화시킨다. 대처 행동 예방 방법
주방
• 날카로운 칼이나 가위는 아이의 ①
현관, 복도, 계단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하고 평
• 현관, 복도, 계단에는 밝은 조명 ②
소에 위험을 주지시킨다.
을 설치하여 보행 시 불편을 주지
• 가스레인지 중간 밸브를 잠그고 ③
않도록 한다.
가스 누설 자동 차단 장치를 설치
• 계단 주위에는 걸려 넘어지지 않
한다.
도록 물건을 치워 둔다. 안전사고 대처 행동과 예방 방법을 정리하여 발표해 보자.
발표하기
대처 방안
대처 행동
안전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응급조치를 하고, 심할 경우 119를 부르거나 병원 치료를 받는다.
※출처: 한국소비자원, 2013.
예방 방법
그림 3-18 주거 내 안전사고 예방과 대처 방안
집 안에서 다음과 같은 상황에 처했을 때 어떻게 대처할 것인지 조사해 보자. 조사하기
평가하기 나의 성찰
세제나 화학 약품을
마셨을 때 •주어진 사례를 이해하고, 원인을 명확하게 분석하였는가? 이 단원을 배운 후
깨진 유리컵에 손을 •사례에 대한 문제 해결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는가?
심하게 베었을 때 •문제 해결 방안을 효과적으로 검증하고 결론을 제시하였는가?
뜨거운 냄비에 손을 하게 되었다.
데었을 때
3. 청소년의 생활과 안전 02. 주거 환경과 안전
87
86 87
주생활과 관련된 안전사고 대처 방안 사례 기반 학습
실천적 문제
해결 능력 생활 자립 자기 관리
능력
역량
단계별 유의점
탐구하기(15분) ⇨ 각 사례에 적합한 최선의 대처 방법과 실생활에서 적용
활동 준비 ⇨ 단계별 활동 내용과 유의점을 제시하며, 제시된 사례를
할 수 있는 예방 방법을 찾아보도록 지도한다.
미리 보고 있도록 하여 활동을 시작하는 것도 좋다.
예시
•준비물: 필기구, 활동지 답안 대처 행동 예방 방법
‘불이야!’라고 소리치고 가족에게 알린
사례 보기(10분) ⇨ 제시된 사례를 보고 어떤 상황인지 판단하여 가정 내에
다. / 소방서(119)에 전화를 걸어 화재
• 전기 합선 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서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종류별로 구분하도록 지도한다. 를 신고한다. / 소화기나 소화전을 이
문어발식 배선을 하지 않는다.
① 용하여 불을 끄거나, 불이 번졌을 때는
① 화재 • 파손되거나 낡은 플러그나 콘센트
예시 빨리 밖으로 나간다. / 연기가 많으면
답안 를 사용하지 않는다.
② 미끄러짐. 자세를 낮추고 젖은 수건을 이용하여
③ 부딪힘. 코와 입을 막고 대비한다.
팔이나 다리 등을 다쳐 골절이 의심
될 때 비전문가가 부러진 뼈를 맞추
② 려고 하지 말고 부목 등을 이용하여 욕실 바닥에 미끄럼 방지 스티커를
사용한다.
손상 상태 그대로 고정하고 즉시 병
사례 분석하기(10분) ⇨ 제시된 각 사례의 사고 원인을 분석해 보도록 지도 원으로 간다.
한다. 피부에 상처가 났을 경우 출혈이 멈
• 가구 모서리에는 보호대(안전 커
출 때까지 깨끗한 천을 감싸서 상처
예시 한 개의 콘센트에 한꺼번에 여러 개의 전기 기구를 꽂아서 사용 버)를 설치한다.
답안 ①의 원인 ③ 부위를 누르고, 상처가 깊거나 벌어 • 선반 위에 물건을 올릴 때에는 안
하였다. 진 경우 의사 진료가 필요하므로 병
정적으로 놓는다.
원으로 이송한다.
②의 원인 욕실의 바닥에 물기나 비눗물이 남겨져 있다.
※ 출처 : 소방방재청, 「우리는 안전 청소년」, 2007.
③의 원인 테이블의 날카로운 모서리를 그대로 방치하였다.
발표하기(10분) ⇨ 활동 내용을 정리하고 발표함으로써 다양한 예방 방법
을 알 수 있고 올바른 대처 방법을 습득하도록 지도한다.
3. 청소년의 생활과 안전 02. 주거 환경과 안전
126 127
중등기술가정지도서-3차제출.indb 126 2017-07-28 오후 12:59:55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