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26 중학교 기술가정① 지도서
P. 126
. 주거 환경과 안전
2차시 3차시
Link&Think 소음은 주거 공간에서 일상생활을 방해하고 불쾌감을 일으키는 소리이다. 자동차 2 주생활과 관련된 안전사고의 예방과 대처 방안
한국환경공단 등의 교통 소음, 텔레비전이나 라디오 소리, 발걸음 소리, 화장실 물소리, 가구 끄는 ↳ 자연재해 예방과 대처 방안
http://www.keco.or.kr ↳ 주생활 안전사고 예방과 대처
소리, 지나치게 큰 음성 등이 소음에 해당된다. 이러한 소음은 휴식과 수면을 방해 길잡이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대처하는 방법에는 무엇이 있을까?
방안
하며 불쾌감, 두통, 수면 장애, 혈압 상승 등을 일으키기도 한다.
생활 속에서 소음으로 불편을 겪었던 최근에는 한 건물 내에서 여러 가구가 살고 있는 공동 주택의 경우 이웃 간에 소 자연재해는 태풍, 홍수, 호우, 폭설, 폭염, 황사, 지진 및 화산 등의 자연 현상으로 Link&Think
경험이 있다면 말해 보자. 국민안전처
음으로 인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층간 소음 때문에 다툼이 생기기도 하므 인해 발생하는 피해를 말한다. 세계적으로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후 변화로 자연
http://www.mpss.go.kr
로 이웃 간의 이해와 배려를 통해 소음을 줄이고 공동 주택 생활 예절을 지키려는 재난이 자주 발생하고 있으며, 피해 규모도 점차 커지고 있다. 우리나라도 크고 작 국가재난안전포털
노력이 필요하다. 은 각종 재난이 일어나고 있다. http://www.safekorea.go.kr
이러한 자연 재난을 통제할 수는 없다고 해도 대처 방안에 따라 피해의 규모가 재난
국민의 생명·신체·재산과 국가에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자연 재난 발생에 대비하여 안전 지식과 상황별 대처 방
피해를 주거나 줄 수 있는 것.
법을 익히고 재난 경보나 방송 등 재난 안내 시스템을 활용하여 피해를 줄이도록
소리가 울리는 것을 흡수할 수
있는 완충 매트나 카펫을 깔거나 노력해야 한다.
슬리퍼를 신고 조용히 걷는다.
예방 대처 방안
태풍, 홍수, 폭설
• 가정의 하수구나 배수구를 점 • 함부로 밖에 나가지 않고, 창문과 문을 닫는다.
소리를 지르거나 큰 소리를 내지 검한다. • 텔레비전이나 라디오 등에서 알려 주는 재난 방
않도록 한다. • 응급 약품, 식수, 비상식량 등의 송의 지침을 따른다.
생필품을 미리 준비한다.
문을 살살 닫는다.
예방 대처 방안
지진
• 가구가 넘어지지 않도록 벽에 • 가스 밸브를 잠그고 전기 스위치를 끈다.
고정해 두고, 높은 곳에 있는 • 문을 열어 출구를 확보한다.
늦은 밤에 청소기와 세탁기를 사
물건은 떨어질 수 있으므로 치 • 책상 밑으로 들어가 몸을 낮게 하고 책상 다리를
용하지 않고, 텔레비전과 음악
운다. 꼭 잡는다.
소리는 적당하게 조절한다.
• 바닥에 깨진 조각에 발이 다 • 머리 등 주요 부위를 보호하며 지진이 잦아들 때
칠 수 있으므로 두꺼운 슬리 까지 기다린다.
그림 3-16 층간 소음 방지 대책
퍼나 운동화를 준비한다.
우리 집의 주거 환경을 조사해 보고, 개선 방법을 찾아보자. 조사하기 예방 대처 방안
황사, 미세 먼지
• 황사나 미세 먼지가 실내로 • 황사나 미세 먼지에 노출된 채소, 과일 등의 식품은
조건 우리 집의 주거 환경 개선 방법 들어오지 못하도록 창문 등을 충분히 씻은 후 섭취한다.
점검한다. • 창문을 닫고 가급적 외출을 줄이고 특히 노약자,
온도와 습도
• 실내 공기 정화기나 가습기 호흡기 질환자 등은 실외 활동을 자제한다.
채광과 조명
등을 준비한다. • 외출 시에는 긴소매 옷을 입고 마스크를 착용
실내 공기 한다.
소음
그림 3-17 자연재해 예방과 대처 방안 ※ 출처: 교육부, 경상남도 교육청, 학교안전공제중앙회, 2016.
84 3. 청소년의 생활과 안전 02. 주거 환경과 안전
85
84
85
한국환경공단 http://www.keco.or.kr 층간 소음의 원인
서울시 층간 소음 민원 상담에 의하면, 층간 소음 갈등의 원
층간 소음, 주택 실내 공기질, 빛 공해, 악취 물질에 대한 측정·분석 결과를 제공하
고 있어, 이에 대한 정보를 찾아볼 수 있다. 인은 위층에서 뛰거나 걷는 소음(77.5%)이 가장 많았고, 가구
를 끌거나 망치질, 문 개폐 소음(10.8%), 청소기·세탁기 등의 전
자 제품, 피아노 소리(5.9%), 개 짖는 소리(4.6%), 화장실·급배수
(1.2%)로 조사되었다.
지도상의 유의점 | 일상생활 속에서 이웃에서 들리는 소리 때문에 불편했거
나 짜증이 났던 일들을 떠올려 발표할 수 있도록 한다.
소주제 ❷와 길잡이
예시 밤늦게 세탁기를 돌리는 소리 때문에 공부에 집중할 수 없었다. 위층
답안
에서 개 짖는 소리에 잠을 설쳤다. 지도상의 유의점 | 주생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의 종류를 알고, 이에 대한
예방 및 대처 방법을 생각해 보도록 지도한다.
국민안전처 www.mpss.go.kr
점검 포인트 | 제시된 기준에 따라 우리 집의 주거 환경의 문제점을 파 국가 안전 진단, 재난과 관련된 신고, 예방 교육, 복구 지원 등에 관한 서비스를 제
악하고 그에 대한 해결 방안을 적절하게 제시했는지를 점검한다. 공받을 수 있으며, 재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어 재난의 종류와 그 개념, 재난
발생 시 국민 행동 요령에 대해 찾아볼 수 있다.
예시 우리 집의 주거 환경 개선점
답안 국가재난안전포털 www.safekorea.go.kr
•가습기를 마련한다. 전쟁이나 테러 등의 안보 위기, 자연 재난, 사회 재난, 생활 안전사고 시 대처 요령
온도와 •건조하다.
•식물을 키운다.
습도 •습하다. 에 관한 구체적인 정보를 찾아볼 수 있고 그와 관련된 동영상도 볼 수 있다.
•통풍을 자주 한다.
• 등을 교체한다.
빛 •어둡다. 안전사고의 원인
•창을 남향으로 더 낸다.
안전사고는 언제 어디서나 일어날 수 있으며, 어느 하나가 잘
• 환기를 자주 시킨다.
공기 •답답하다, 탁하다.
•환풍기를 더 설치한다. 못되면 도미노와 같이 연쇄적으로 영향을 주어 발생할 수 있다.
•위층 소음이 심하다. • 위층과의 의사소통을 통해 해결해 본다. 반대로 이 중 어느 한 요인을 제거하면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소리
•아래층 사람들이 예민하다. •바닥에 두꺼운 매트를 깐다.
따라서 평소 위험을 예측하고 안전 수칙을 따르도록 한다.
3. 청소년의 생활과 안전 02. 주거 환경과 안전
124 125
중등기술가정지도서-3차제출.indb 124 2017-07-28 오후 12:59: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