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45 중학교 기술가정① 지도서
P. 245








2차시



제품이나 구조물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먼저 무엇을 생산할 것인가를 결정한 후에
2 생산 기술의 요소
↳ 재료 어떻게 생산할 것인지를 고려해야 한다. 무엇을 어떻게 생산할 것인지 구체적으로 계 > 생산 기술의 요소에는 , ,
↳ 설계 획을 세우고, 설계도를 작성하여 내용을 명시하는 것을 설계라고 한다. 이 있다.
길잡이 산출물을 만들 때에는 무엇이 필요할까?
↳ 공정
생산하고자 하는 제품이나 구조물에 대한 다양한 아이디어와 시장 조사 정보, 소
시추 맛있는 음식을 만들기 위해서는 요리법, 재료, 조리의 과정이 필요하다. 이렇듯 하 비자의 요구 등을 수집하여 만들고자 하는 생산품을 최종 선정하였을 때 설계를
지하자원을 탐사하거나 지층의 구조
나 상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땅속 깊 나의 제품이나 구조물 등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만들어야 할지 설계를 한 후, 하게 된다.
이 구멍을 파는 일. 이 설계에 따라 가장 알맞은 재료를 투입하고, 여러 생산 과정을 거쳐야 한다.
산출물을 만드는 데 필요한 재료, 아이디어를 구상하고 표현하는 설계, 생산 과정
✽ 설계 ✽ 이번에 생산할 제품은 농구화야. 이제 운동화의 재료,
인 공정을 생산 기술의 요소라고 한다. 푹신푹신하게 액체를 넣는 밑창을 만들어 보면 디자인을 정해 볼까?
개념 설계 기본 설계 어느 정도의 크기와 무게가 적당한지
유용한 산출물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자연에 존재하는 다양한 자원을 이용한다. 어떨까? 충격에 액체가 새어 나오면 어쩌지?
잘 검토해 보고 결정해야지. 생각해 보고, 푹신푹신한 느낌과 통기성,
이러한 천연자원은 제품이나 구조물, 의약품 등으로 만들어지기까지 여러 과정을 거 내구성이 좋게 스케치해 보자.
친다. 단순한 모양의 천연자원이 가공되어 생산에 필요한 재료로 만들어지고, 재료
는 우리 생활에 사용되는 산출물이 된다.
✽ 재료 ✽
석탄, 석유, 철, 구리 등의 광물 자원, 수목 등의 산림 자원, 동물, 식물 등의 생물 자원, 수자원, 토양 자원 등의 천연
천연자원의 확보와 개발 운동화의 모양이나 재료,
자원을 개발하여 확보한다. 시제품이 테스트에 통과했어.
상세 설계 가공법이 모두 설계되었어. 생산 설계
실제 제작 도면으로 작성하고 도면에 생산성과 경제성을 높이도록
따라 시제품을 만들어 보아야지. 생산 방식을 결정해서
제품으로 생산하자.
광물 자원 I 땅속에 묻혀 있는 금속 석유, 천연가스 I 광물 자원 중 석유 산림 자원 I 목재를 벌목하고 약초를 생물 자원 I 증식 또는 번식을 이용
광물이나 고령토, 석회석, 석탄 등을 나 천연가스는 땅속이나 해저에서 얻는다. 하여 생물 자원을 얻는다.
채굴한다. 시추한다.
자연에서 얻은 천연자원은 품질이 균일하지 않고, 산출물에 따라 다른 성질의 재료가 필요하다. 자원을 편리하게
재료의 생산 그림 7-3 설계의 종류
이용하기 위해 자원의 종류와 이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가공 과정을 거쳐 일정한 규격을 갖춘 원자재로 가공하여
재료로 사용한다.
한걸음
시제품의 제작
본격적으로 생산하기에 앞서 개발한 제품의 성능을 검증하고 개선하기 위하
여 핵심적인 기능만 넣어 만든 것을 시제품이라고 한다. 제품 생산을 시작하면
광물 자원의 가공 I 열을 가하여 재 원유의 가공 I 화학 반응을 이용하여 목재의 가공 I 기계적 힘을 가하여 생물 자원의 가공 I 번식시킨 생물 도중에 중단하거나 취소하기 쉽지 않으므로 사전에 시제품을 만들어 검증해 보
료 분리, 형태나 구성을 변화시킨다. 재료의 성질을 변화시킨다. 재료의 형태를 변화시킨다. 자원에서 필요한 부분만 추출한다. 는 것이다. 이 시제품을 소비자가 사용해 보도록 하고, 평가와 요구 사항 등을
열 가공을 한 쇳물 → 강철 원자재 약품 처리 등의 화학 작업 → 제재 작업 → 판재나 각재 푸른곰팡이 → 페니실린 되먹임 받아 제품 개선에 반영한다.
플라스틱 원자재 시제품 제작은 제품의 기능과 품질의 불량이나 소비자의 외면 등을 줄이고
그림 7-2 천연자원과 재료 제품의 완성도를 높여 준다. 그림 7-4 3D 프린터로 시제품을 제작하는 장면
7. 생산 기술과 제조 기술의 세계
191
190 01. 생산 기술
191
190
소주제 ❷와 길잡이
지도상의 유의점 | 제품이나 건축물, 의약품 등을 만들 때 필요한 아이디어 구상에 지도상의 유의점 | 생산 기술의 요소를 아는지 점검하게 한다.
관하여 먼저 이야기한 후, 아이디어에 따른 재료, 생산 방법 등을 통해 설계를 설명 예시 생산 기술의 요소에는 재 료 , 설 계 , 공 정 이 있다.
한다. 이때 필요한 재료와 생산 공정에 대하여 이야기하여 재료, 설계, 공정을 이해 답안
할 수 있도록 한다.
지도상의 유의점 | 제품의 상품화에 앞서 시제품의 제작이 왜 필요한
천연자원의 확보와 개발
지 질문한 후, 시제품 없이 생산할 경우 어떤 문제점이 있을지 이야기
광물 자원 | 광물 자원에는 철광석, 구리 등의 금속 광물, 석회 해 보도록 지도한다.
석, 고령토 등의 비금속 광물, 석유 및 천연가스 등이 해당된다.
설계의 종류
금속 광물과 비금속 광물은 채굴을 통해 확보할 수 있으며, 원유
와 천연가스는 시추를 통해 얻는다. 개념 설계 | 첫 단계의 작업으로 생산물의 아이디어를 설계하는
작업이다. 개념 설계 단계에서는 통상, 실제로 제작 공정에 들어
산림 자원 | 벌목이나 벌초 등을 통해 목재나 약초를 얻는다.
생물 자원 | 증식 또는 번식을 이용하여 생물 자원을 얻는다. 가는 것은 아니며 실현할 수 없는 부분이나 기능상 간과한 점
은 없는가 등을 검토한다.
재료의 생산 기본 설계 | 이 단계에서는 구체적인 치수나 재료를 정한다. 또
천연자원은 품질이 균일하지 않고, 생산물에 따라 재료의 성 구조상 부서지는 곳은 없는가, 기능상 실현될 수 없는 부분은
질이 다르다. 자원의 편리한 이용을 위해 일정한 규격을 갖추도 없는가 등을 평가한다.
록 가공하여 재료로 사용한다. 자원의 가공 방법에는 열 가공, 상세 설계 | 상세한 각 부품의 형상이나 재료, 가공법 등이 정
화학적 가공, 기계적 가공이 있다. 해지고, 실제의 제작 도면(가공 도면)이 나오는 단계이다. 시제품
열 가공 | 열을 가하여 원하는 재료를 분리해 내거나, 재료의 을 만들어 실험적인 성능 평가를 하는 것도 이 단계에서이다.
형태나 구성을 변화시킨다. 생산 설계 | 설계에 있어서 제품의 품질을 높이면서. 가공을 쉽

화학적 가공 | 화학 반응을 이용하여 재료의 성질을 변화시킨다. 고, 경제성 높게 생산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단계이다. 부품의
기계적 가공 | 기계적 힘을 가하여 재료의 형태를 변화시킨다. 허용 범위, 최적 재료, 설계의 단순화, 기능에 적합한 제조 기술
더 알아두기 P. 263 ▶ 등 생산을 최적화할 수 있도록 하는 설계이다.

7. 생산 기술과 제조 기술의 세계 01. 생산 기술
242 243





중등기술가정지도서-3차제출.indb 243 2017-07-28 오후 1:01:46
   240   241   242   243   244   245   246   247   248   249   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