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79 고등학교 디자인 일반 교과서
P. 79
문화 운동의 시작, 이탈리아의 미래파
미래파(Futurists, 1909~1916)는 20세기 초에 이탈리아의 밀라노에서 필리포 마 하나 더 알기
리네티(Filippo Marinetti)를 중심으로 결성되었다. 건축가, 미술가, 조각가, 시인 등 미래파 디자인의 특징
•과거와의 단절
이 새로운 예술과 건축을 통하여 새로운 이탈리아를 만들고자 시도한 전위 예술 운 •새로운 재료의 사용
•다이내믹한 형태
동이다. 미래파는 인습적인 전통 예술을 부정하고 기존의 가치와 문화를 혁신하고 •장식의 배제
자 하였다. 대신 새로움과 젊음, 기계, 도시의 생동감과 속도감, 심지어 전쟁과 폭동 •기계의 이미지
•폭력의 미화
까지 감각적이고 아름답게 표현하였다. 이러한 미래파의 사상은 시인인 마리네티가
1909년 프랑스 일간지인 <르 피가로(Le Figaro)>에서 발표한 ‘미래파 선언문’
에 담겨 있다.
미래파가 주장한 미래주의의 요점은 ‘기계에 의한 미래 사회 건설’이다.
또한, 미래파는 기계 문명의 역동성을 강하게 묘사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도
시 계획 건축과 타이포그래피 등 다양한 장르에서 실험적인 활동을 시도하
였다. 그러나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면서 이들의 활동은 좌절되었다.
߬ܰష ࠁୡפ(Umberto Boccioni/1882~1916/
이탈리아) ҕр ࣘ োࣘੋ ױੌ ഋక(청동/111.2×
88.5×40cm/1913년 작) - 마리네티의 열렬한 지지
자 움베르토 보초니는 움직이는 연속된 동작을 단
순화하여 하나의 형태를 입체로 표현하였다.
ܻನ ܻ݃֎౭(Filippo Marinetti/1876~1944/이탈리아)
ਬ հ݈ٜ(포스터/31×38cm/1913년 작) - 미래파에게
언어는 의미이기에 앞서 이미지임을 보여 주고 있다.
디자인 더 깊이 안토니오 산텔리아의 조감도
안토니오 산텔리아(Antonio Sant’elia/1888~1916/이탈리아)가 설계한 입체 도로와 연결되는 초
고층 사무실 빌딩의 모습(좌)과 비행기, 배, 자동차, 기차를 동시에 수용할 수 있는 종합 터미널의 모
습(우)은 오늘날의 건축물과 비교해도 손색이 없다.
ୡҊக ࢎޖप - 라 치타 누오바 조감도(50×39cm/1914년 작)와 건물 ઙ ఠօ ઑхب - 라 치타 누오바
(27×21cm/1914년 작)
2. 근대 디자인 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