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0 고등학교 디자인 일반 교과서
P. 80
추상 미술 운동 신조형주의
신조형주의는 네덜란드에서 일어난 현대주의 운동으로 1917년에 출간된 <데 스
테일> 잡지를 통하여 전 세계에 알려졌다. 신조형주의(De Stijl)는 최소한의 시각적
요소와 기본적인 색채를 중심으로 기하학적 추상 양식과 인공적인 아름다움을 창조
한 근대 디자인 운동이다.
신조형주의의 대표적인 예술가는 추상적 구성의 작품을 발표하여 미니멀리즘
의 최고 수준을 보여 준 몬드리안이다. 그는 그림의 면을 정확하게 수직, 수평으로
분할하고 빨강, 노랑, 파랑의 3원색과 무채색만을 이용하여 인공적인 특성을 표현하
였다.
공간 비례를 적절하게 강조하기 위하여 사용한 몬드리안의 작품 속 검정 선과 비
대칭 화면 구성은 출판물 디자인과 타이포그래피, 그리고 그래픽 디자인에도 많은
영향을 끼쳤다.
ㅊ
ೖ ހܻ٘উ(Piet Mondrian/1872~1944/ ग܉؊ ೞझ(1924년 작) - 신조형주의를 상징하는 건물로 몬드리안 ܻ ష݃झ ܻ߰의
네덜란드) ࡈъ, ֢ی, ی ҳࢿ(캔버스에 유채/ 회화의 2차원적 평면을 입체적으로 조성하여 건립하였다. 2000년에는 유 (밤나무/1918년 작) - 의자의 기능
52.5×60cm/1920년 작/암스테르담 시립 박물 네스코 세계 문화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성보다 형태와 구조의 순수함을 찾
관) - 무질서한 요소를 배제한 수학적이고 계 고자 한 조형물이다.
획적인 작품이다.
건축 디자이너 중 신조형주의적 요소를 가장 강하게 사용한 작가는 헤리트 토마스 헤리트 토마스 리트벨트(Gerrit
Thomas Rietveld/1888~1964/
리트벨트이다. 리트벨트의 의자는 앉았을 때 편안하지 않은 점 때문에 비판을 받기도 네덜란드)
했지만, 앉는 물건 그 자체보다는 의자가 갖는 추상적이고 본질적인 특성을 조각적 네덜란드 출신의 디자이너이자 건
축가이며, 1920년대부터 1960년
으로 환기시켰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리트벨트는 또한 적은 비용으로 대량 생산을 대 초까지 근대 디자인의 규범을 확
립하는 데 기여하였다. 그는 디자인
할 수 있는 기계 미학을 여러 조형성의 요소와 조화시킨 건축가라는 평가를 받고 과정에서 신조형주의의 조형 이론
을 충실히 표현하였고, 선과 선, 덩
있다. 어리와 공간의 관계를 강조하였다.
신조형주의가 현대 디자인에 많은 영향을 끼친 것은 바우하우스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바우하우스의 교장 그로피우스는 리트벨트의 조명을 응용하여 디자인하였
으며 금속관을 의자의 재료로 활용한 마르셀 브로이어는 리트벨트의 기하학적인 목
재 가구를 참고하여 목공예를 가르치고 작품 활동을 하였다.
78 Ⅱ. 디자인의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