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9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P. 69
일본의 전통 가옥
일본에서는 고온 다습한 기후 때문에 통풍이 잘
되고 습기를 방지하도록 건물을 높게 지었다. 지
진에 대비하여 주로 목재로 집을 짓고, 비와 눈
이 많이 내리기 때문에 비가 쉽게 마르고 눈이
쌓이지 않게 지붕을 가파르게 하였다. 보온과 방
습의 효과를 위해 짚을 엮어 만든 ‘다다미’라는
바닥재를 깔았으며, 겨울철에는 상 밑에 방열(放
熱) 기구를 넣고 그 위에 이불을 덮은 형태의 난
방 기구인 ‘코다츠’를 사용하였다.
그리스 산토리니의 전통 가옥
지중해성 기후인 그리스는 석회암이 풍부한 지
역으로 뜨거운 햇살을 반사하기 위해 석회암으
로 하얗게 집을 지었다. 산토리니는 과거 화산
폭발로 절벽이 많이 형성되었다. 이런 지형의 한
계를 극복하기 위해 집들끼리 오
밀조밀하게 짓는 방식을 선택하
여 우리 집 옥상이 뒷집에는 마
당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토루 입구
게르 내부
몽골의 게르(좌)와 북아메리카 인디언의 티피(우) 중국의 사합원(좌)과 토루(우)
초원 지대의 몽골족은 사냥이나 유목과 같이 잦은 이동이 요구되는 생활 웃어른의 거처와 사당을 배치한 사합원은 유교적 영향을 보여 준다. 사합원은
을 했기 때문에 조립과 해체가 쉬운 주거 공간인 게르에서 생활하였다. 대가족 단위로, 토루는 씨족이나 마을 단위로 외부의 공격에 대비하여 폐쇄적으
티피는 초원에서 사냥하며 살던 아메리카 인디언들의 주거 공간이다. 로 만든 공동 주택 형태이다.
그림 Ⅲ–13 다른 나라의 전통 가옥
생활
공감 주거는 그 사회의 문화를 반영한다. 미래 사회는 어떤 사회·문화적 요인으로 주택의 형태가 어떻게 변할지 예측해 보자.
미래 사회의 변화 미래 사회의 주거 형태
1인 가구의 증가
결혼에 대한 가치관 변화
커뮤니티의 발달
기타
03. 한옥의 가치와 친환경적인 주생활 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