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8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P. 68









2 다른 나라의 주생활 문화에서 볼 수 있는 특징은 무엇일까?



여기서 배울 내용 집의 구조는 기후, 지형과 같은 자연환경적 요인, 사용 가능한 재료들과 건축 기술과
•다른 나라의 주생활 문화
같은 사회 기술적 요인, 생활 양식과 같은 문화적, 종교적 전통에 따라서 달라진다. 이런
특성 때문에 주생활도 지역마다 커다란 차이를 보이지만 집은 더위나 추위를 피하고, 지
역에서 구할 수 있는 친환경적 재료를 사용하여 그곳의 환경에 가장 알맞게 적응해 왔다

는 공통점이 있다.
자연환경과 주생활 문화 | 집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추위나 더위, 외부의 공격으로부터

사람을 보호하는 것이다. 기후에 따라 고온 다습한 지역은 땅에서 올라오는 습기와 열기
를 피하고 통풍이 잘되도록, 눈이 많은 지역에서는 눈이 쌓여 피해를 보지 않도록 발전시
켜 왔다. 고온 건조한 사막 지역은 밤낮의 기온 차와 건조한 환경을 극복할 수 있는 형태
미얀마 인레 호수의 수상 가옥
로 지어졌다.
기후에 따라 구하기 쉬운 재료로 집을 짓게 되는데, 이는 비용 절약과 함께 친환경적인
주거 문화 형성이라는 효과가 있었다.

사회·문화적인 환경과 주생활 문화 | 농경이나 유목과 같은 생활 형태, 가족 제도 등도
주생활 문화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이 되었다. 중국의 사합원은 가족 구성원들이 동
등한 권리와 의무를 지녔던 문화적 특색과 조상을 모시는 일을 중시한 유교적 특색을 보

이며, 게르와 티피에서는 풀이나 동물을 찾아 이동해야 했던 몽골 유목민과 아메리칸 인

미국 알래스카주의 이글루 디언의 생활을 알 수 있다.

























말레이시아 사라와크 족의 필로티 집 모로코의 진흙으로 지은 집
덥고 비가 많은 말레이시아에서는 기둥 중간쯤부터 건물을 지어 땅에서 떨 고온 건조한 모로코에서는 외부의 열풍을 차단하는 기능이 있는 흙집을 지
어진 구조로 집을 짓는다. 통풍과 습기의 차단에 유리하며, 침수와 뱀과 같 었다. 흙은 열전도율이 낮아서 두꺼운 흙벽을 이용하면 낮에는 서늘하고 밤
은 동물이나 곤충의 침입을 피하기 좋다. 바닥은 모두 대나무를 얇게 쪼개 깔 에는 따뜻하게 지낼 수 있어 경제적인 온도 조절이 가능하며, 세월이 흐르면
아 후덥지근한 열대의 더위를 식힐 수 있고 바람이 잘 통하게 되어 있다. 자연으로 되돌아가는 환경친화적이며 경제적인 특성이 있다.
그림 Ⅲ–12 기후와 주생활 문화

66 III. 건강하고 행복한 가정생활 문화 BIG 행복한 가정생활에 필요한 것은 무엇이고, 나는 어떻게 해야 할까?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