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6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P. 66
03 한옥의 가치와 친환경적인 주생활
학습 목표 한옥의 가치와 다른 나라의 주생활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현대 주거 생활에서 건강하고 친환경적인 주생활을 실천할 수 있다.
집 안에 들어갈 때 신발을 벗는 우리 문화는 어떤 장점이 있는가?
한옥 스테이, 고택 체험 같은 한옥
관련 여행이 크게 늘고 있으며, 외
국인뿐 아니라 국내 여행객들도
내가 한옥에 있다면 무엇을 하고 전통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한옥
싶은지 이야기해 보자. 을 찾고 있다.
학습 계획
이 단원의 학습 목표를 고려하여 스스로 학습 계획을 세워 보자.
1 우리 주생활 문화에서 볼 수 있는 한옥의 가치는 무엇일까?
여기서 배울 내용 우리 조상들은 자연과의 조화를 최고의 이상으로 삼았으며, 한옥은 이를 반영하여 자연
•한옥의 기능과 가치
에 순응하여 계획되었다. 즉, 한옥은 주위의 환경과 어울리도록 집의 방향을 잡고 그 곳에
서 나오는 재료를 사용하여 지어졌다. 농경 사회에서는 노동력이 중요했으므로 가족이 모
Link & Think
국가한옥센터 여 살도록 설계되었고, 신분에 따른 경제적 차이가 초가집과 기와집의 규모를 결정하였다.
http://www.hanokdb.kr/
방, 마루, 부엌, 마당 등으로 구성된 한옥에서 온돌과 마루의 결합은 고온 다습한 여름
과 추운 겨울을 지내는 조상들 지혜의 소산이다. 더운 여름에는 마루가 통풍의 중요 역할
을 하고, 추운 겨울에는 온돌이 난방을 담당하였다. 또 한옥은 해체한 재료를 재활용하여
지속 가능한 소비 및 자연과의 조화를, 가림과 소통이 가능한 담장으로 이웃과의 어울림
을 추구하였다. 한옥의 다양한 가치는 오늘날까지 한국인의 생활 문화로 정착되어 현대
의 주생활에서 여러 시도가 가시화되고 있다.
64 III. 건강하고 행복한 가정생활 문화 BIG 행복한 가정생활에 필요한 것은 무엇이고, 나는 어떻게 해야 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