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3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P. 63









사회·문화적 환경에 따른 의생활 문화 | 의생활은 한 나라의 사회·문화적 환경을 반영
하는 하나의 문화로서 관습, 종교, 이념, 법적 규제가 의복 속에 반영되어 있다. 그래서 그

나라의 전통 의상을 보면 그 나라의 문화도 알 수 있고 어느 나라의 영향을 받았는지도
파악할 수 있다.


관습
붉은색은 중국에서는 길한 색상으로, 베트남과 인도에서는 행복을 상징하는 색으
로 여기기 때문에 신부의 결혼 예복으로 사용하였다. 이는 사회적 가치를 담은 관
습 때문이다.
한국에서는 결혼하지 않은 여자는 노랑 저고리와 다홍치마를 입고, 결혼한 여자
는 연두저고리와 다홍치마를, 남편이 있는 여자는 자주색 고름을 달고, 아들이 있
으면 남색 끝동을 달았으며, 나이 든 여자는 옥색 저고리와 남색 치마를 입었다.



종교 이념
성직자가 입는 종교 복식뿐만 아니라 일반 대 중산푸는 중국의 정치적 이념을 담은 옷이다.
중의 전통 복식에도 종교가 끼친 영향은 크다. 상의에 있는 4개의 주머니는 예절과 의리, 청
이슬람의 코란은 여성의 신체 노출을 금한다. 렴한 마음, 부끄러움을 아는 태도를, 5개의 단
서남아시아의 고온 다습한 기후와 전사 중심의 추는 입법, 사법, 행정, 감찰, 고시의 오권 분
남성 사회라는 역사적 환경과 이슬람의 경전인 립을 의미한다. 3개의 소매 단추는 민생, 민주,
코란에 따라 여성들은 히잡, 차도르, 니캅, 부르 민족의 삼민주의를, 단순한 디자인은 누구나
카 같은 옷을 입는다. 입을 수 있다는 평등사상을 표현하였다.

생활
한국은 신발을 벗고 실내에 들어가는 주거 생활을 하였
고, 온돌을 발전시키며 신체를 바닥에 밀착시켜 따뜻하
게 하는 방향으로 의생활이 발전하였다. 말을 타거나 이
동이 많은 생활을 하는 곳에서는 신을 신고 들어가는 주
거 생활을 했고, 몸에 붙는 의복으로 단추나 여밈 기능이
발달하였다.



그림 III-9 사회·문화적 환경과 의복


생활
공감 다음 두 전통 의상에서 알 수 있는 정보를 조사하여 정리해 보자.


한복 차도르 UP

기후 ‘한복 디자이너’가 되는 방법과 ‘한복 디
자이너’로서의 어려움과 좋은 점을 알아
보자.
관습



종교



02. 한복의 우수성과 창의적인 의생활 61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