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7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P. 67
자연친화적 재료
한옥은 나무와 흙, 짚, 종이 등 자연 재료를
사용하며, 해체하고 조립하는 과정에서 재료
를 재활용하여 친환경적이다.
청결하고 쾌적한 구조
지면보다 높은 마루는 신을 신는 외부 공간
과 신을 벗는 내부 공간을 분리하여 내부의
청결을 돕고 더위를 식힌다.
온돌은 바닥을 데워 온도를 조절하여 내부를
쾌적하게 유지해 주며 요리와 난방을 동시에
해결하는 효율적인 장치이다.
아름다움과 효율을 추구한 형태
창과 문을 열고 닫아 일조량, 통풍과 환기를
조절할 수 있다. 끝을 올린 처마는 여름에는
깊은 그늘을, 겨울에는 햇빛을 더 오래 받도
록 한 채광 장치이다.
창호문에서는 무늬의 아름다움을, 처마에서
는 곡선의 아름다움을 볼 수 있다.
소통과 어울림의 가치 추구
마루는 가족 소통의 장이었으며, 폐쇄적인
방과 개방적인 마당을 잇는 공간이다.
담장은 집 안을 외부의 시선에서 차단하는 동
시에 이웃과 소통할 수 있는 높이로 쌓았다.
그림 Ⅲ–11 한옥의 기능과 가치
고가3
생활
공감 한옥의 공간 구성과 각각의 장소에서 이루어진 생활상의 특징을 조사해 보자.
시대와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한옥은 가족이 추구하는 목표를 반영하
여 주거 공간 구성을 달리하였다. 특히 조선 시대 중류 계급 이상의 주택은 기
사당 본적으로 안채와 사랑채를 중심으로 하여 행랑채, 사당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
안채
며 각 채는 마당을 가지고 있다.
행랑채 안채 사랑채 행랑채 사당
사랑채
03. 한옥의 가치와 친환경적인 주생활 65
더워진 공기
찬바람
대청 공기 주머니
진공
중문
굴뚝
구들장
아궁이 방바닥
열기
부넘기
냉기·습기
부엌 바닥 굴뚝 개자리
고래 개자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