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2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P. 62









2 다른 나라의 의생활 문화는 어떠할까?


여기서 배울 내용 의생활 문화에는 각 민족이 거주하는 지역의 기후, 지형 등의 자연적 환경과 종교적 신
• 다른 나라의 의생활 문화
념, 정치 등에 의한 사회·문화적 환경의 특색이 잘 반영되어 있다.
자연환경과 의생활 문화 | 나라마다 기후가 달라 의복에 사용된 재료와 형태도 다르게
발전하였다. 열대 지방에서는 옷을 거의 입지 않고 나무를 깎아 만든 장신구나 식물에서

채취한 염료로 화려하게 몸을 치장하였고, 한대 지방에서는 동물의 가죽을 이용한 옷으
로 추위에서 몸을 보호하였다.

입는 형태에 따른 의생활 문화 | 세계 여러 나라의 전통 의상을 입는 형태로 구분해 보
면 감아 입는 의복, 걸쳐 입는 의복, 여미어 입는 의복, 체형에 맞는 의복으로 나누어 볼
3 사계절이 있는 한국
수 있다.


계절에 따라 옷의 소재를 달
리해서 체온을 조절하였다.

1 2



더운 지방 추운 지방
더운 지방
옷보다 장식이 발달하였다. 보온이 무엇보다 중요하였다.
그림 III-7 기후와 의복의 형태



2 걸쳐 입는 의복



1 옷감에 구멍을 내어 머리를 넣고 어깨에 걸쳐
입는 형태의 의복으로, 멕시코에서는 날씨가
감아 입는 의복 춥거나 비가 올 때 판초를 입는다. 챙이 넓은
모자 ‘솜브레로’는 뜨거운 햇빛을 차단해 준
덥고 건조한 열대 지방에서 발달한 옷의 다.
형태로, 태양열과 거센 바람으로부터 몸  멕시코의 판초
을 보호하고 수분을 유지할 수 있다. 몸
에 밀착하지 않고 재봉을 하지 않은 옷
감을 몸에 두른다.
 인도의 사리





3 4
여미어 입는 의복 체형에 맞는 의복
몸에 밀착시키지 않고 바느질하여 구성 추운 지방에서 발달한 옷의 형태로 의복
한 의복 형태로, 가볍고 통풍이 잘 된다. 재료를 재단하여 체형에 맞게 입체적으
윗옷의 앞이 트여 있고 끈으로 묶어서 로 만든다. 신체에 밀착되어 보온의 효과
입는다. 가 있다.
 중국의 치파오, 일본의 기모노, 서양  유럽의 민속 의상, 양복(바지, 치마, 재
의복 킷 등)
그림 III-8 입는 방법에 따른 의복의 종류

60 III. 건강하고 행복한 가정생활 문화 BIG 행복한 가정생활에 필요한 것은 무엇이고, 나는 어떻게 해야 할까?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